해양수산부 등 15개 중앙부처 직장협의회는 26일 정오 서울 정동 세실레스토랑에서 행정부공무원 노조준비위원회 설립을 위한 발기인 기자회견을 갖겠다고 25일 밝혔다. 중앙부처 단위에서 합법화 노조를 설립하려는 것은 처음이다.
국가청소년위원회 직협 관계자는 “합법적인 공간에서 공무원의 목소리를 높이기 위해 노조설립을 준비하게 됐다.”면서 “각 직협 회장들이 여러 차례 만나 이미 합법노조 출범의 필요성을 공감한 상태”라고 말했다.
행정노조에 참여하는 부처 직협은 모두 15개. 정보통신부와 문화관광부, 산자부 등 중앙부처가 중심이 됐다.
이들은 대부분 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성향의 직협이 모인 ‘중앙부처 직협연맹’ 소속이다. 이달부터 노조설립 준비에 착수, 올 상반기 안에 행정노조를 공식 출범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행정노조 설립 움직임에 대해 일단 긍정적인 입장이다. 공무원의 노동3권 쟁취와 정치활동 여부를 둘러싸고 정부와 각을 세우고 있는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이 공무원노조 특별법의 테두리에 들어오는 촉매제 역할을 행정노조가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행자부 관계자는 “행정노조가 정부와 교섭을 시작한다면 전공노 내부에서도 ‘합법화한 뒤 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실익을 찾자.’는 목소리가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행정노조 준비위의 부처 직협 회원은 모두 4만여명. 친공노총 성향이다. 이에 따라 공노총은 전공노와의 경쟁에 거대한 ‘원군’을 얻게 된 셈이다.
그러나 행정부 공무원을 대표하는 노조로 성장할지는 미지수다. 전공노의 ‘아성’을 뛰어넘기에는 아직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행자부 관계자는 “중앙 부처에는 여전히 전공노의 영향력이 더 막강하다.”면서 “전공노가 합법 공간으로 들어온다면 정부와의 협상 주도권을 가져갈 공산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