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러내 놓고 골프를 치기에 시기상조인 것 같다.”
공직사회가 이해찬 전 국무총리의 ‘3·1절 골프’ 파문으로 촉발된 ‘눈치 골프’에서 다소나마 벗어나는 모습이다. 특히 국가청렴위원회의 ‘골프 지침’이 나온 직후 공직자의 부킹(예약) 취소가 잇따랐던 것과는 달리 지난 5∼7일 연휴기간에는 골프장을 찾았다는 공직자가 눈에 띄게 늘어나는 등 분위기도 풀리고 있다.
국가청렴위원회는 지난 3월23일 ‘공직자는 민원인 등 직무관련자와 골프를 해서는 안된다.’는 사실상의 ‘골프 금지령’을 내렸다. 그러나 청렴위는 닷새 뒤 직무관련자의 범위를 크게 축소, 사실상 ‘골프 허용령’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그래도 당시에는 드러내 놓고 골프를 다시 즐기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는 것이 중론이었다.
지난주말 골프장을 찾았다는 중앙부처 국장급 공무원은 “공직사회 특성상 최근까지 골프를 자제하고, 예약을 취소했던 것이 사실”이라면서 “하지만 문제의 소지가 없으면 몸을 사릴 필요는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다른 공무원은 “청렴위 골프 지침의 윤곽이 드러난 만큼 무작정 눈치만 보는 태도가 더 바람직하지 않다.”고 더욱 한걸음 나아갔다.
이런 분위기가 조성된 데는 한명숙 국무총리가 골프를 긍정적으로 표현한 것도 한몫한 듯하다. 한 총리는 지난달 20일 취임식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골프 그 자체가 나쁘다거나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또 국민들이 골프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만드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다만 공직자로서 한계와 정도를 지키는 것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렇다고 공직자의 골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말끔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한 과장급 공무원은 “공직자들의 골프를 부정·부패나 비리와 연관짓는 사회적 시각도 여전하다.”면서 “골프가 대중스포츠가 됐다지만, 아직은 공직사회를 난처하게 만들 수 있는 행동은 자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