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최근 국내 유일의 해양 포유류 전문연구기관인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에 의뢰해 백령도 물범의 서식현황 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올해는 개체군의 크기, 분포 특성, 개체식별 등을 위한 사진식별조사를 실시하고 먹이 공급원을 파악하기 위한 식성조사와 인간활동에 의한 물범의 행동특성을 조사할 계획이다.
또 인공위성 추적 장치를 이용한 유전자 조사를 단계적으로 실시하는 한편 미국 해양대기청(NOAA)에 고래연구소 관계자를 파견, 하와이 물범서식지 복원 등 선진기법 도입도 추진할 예정이다.
중국 랴오뚱만에서 번식을 마치고 이맘 때쯤 백령도로 돌아오는 점박이물범은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돼 있으나, 중국의 불법밀렵과 백상어의 습격(서울신문 2005년 9월 10일 보도) 등으로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현재는 300∼400마리만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20일 녹색연합과 함께 ‘한·중 점박이물범 보호와 관리에 관한 국제심포지엄’을 열었다. 점박이물범은 백령도와 북한 서해 연안, 중국 발해만·라오뚱만을 이동하며 서식하는 해양 포유류로 천연기념물 331호로 지정돼 있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