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의 강력한 혁신 드라이브에도 불구하고 공공기관들 가운데 60%가 아직도 혁신 수준이 초기단계인 것으로 평가됐다. 기획예산처는 공공기관혁신평가단(단장 성극제 경희대 교수)이 제출한 210개 공공기관의 지난해 혁신에 대한 평가결과에서 이렇게 나타났다고 4일 발표했다.
☞기획예산처 공공기관 혁신평가 보도자료 바로가기
평가내용에 따르면 210개 공공기관 가운데 혁신수준이 제도화 단계인 4단계 이상인 기관은 84개로 40%에 그쳤다. 나머지 126개(60%)는 혁신의 초기수준인 1∼3단계로 평가됐다. 중앙부처의 81%가 4단계 이상인 것과 비교하면 낮은 편이다.
●혁신단계 투자기관 최고, 출연연구기관 최하
김용진 기획예산처 공공혁신기획팀장은 “4단계 이상 기관이 2004년 16%에서 지난해 40%로 늘어났고, 평균 혁신수준도 2.5단계에서 3.1단계로 올라갔다.”고 평가했다.
210개 공공기관의 평균 혁신수준은 3.1단계였다.3단계는 기관장이나 일부 조직을 중심으로 혁신활동이 전개되고 있지만 산발적인 형태를 벗어나지 못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14개 투자기관의 평균 혁신수준은 4.8단계로 평균치를 크게 웃돌았으며,87개 산하기관은 3.3단계로 가까스로 평균을 넘겼다. 반면 46개 출연연구기관의 평균 혁신단계는 2.7단계에 그쳤고,63개 부처자율선정기관의 평균 혁신수준은 2.8단계로 투자기관이나 산하기관에 크게 못 미쳤다. 기획예산처는 이같은 결과가 나타난 이유로 ▲혁신활동이 담당부서 위주로만 추진돼 구성원 확산이 미미하고 ▲구체적인 혁신 실행계획이 미흡하며 ▲기관장과 임원간 혁신 리더십의 조화 부족 등을 들었다.
●혁신 필요성조차 못 느끼는 기관 21개나
평가결과 혁신 초기수준 가운데에서도 혁신에 대한 필요성조차 확산되지 않은 1단계에 해당하는 기관은 21개로 10.0%나 됐다. 혁신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부분적인 혁신 활동을 추구하는 2단계는 20.5%인 43개, 리더나 추진조직 중심으로 다양한 혁신 활동이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3단계는 20.5%인 62개 기관으로 각각 집계됐다.
김 팀장은 “연구기관은 연구조직과 지원조직으로 구분되는데, 연구조직은 혁신에 대한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고 말했다.
이번 평가에서 관광공사, 주택보증, 컨테이너부두공단, 부산항만공사, 주택관리공단 등 5개 기관은 혁신수준을 3단계나 끌어올렸다. 반면 대한무역진흥공사는 2004년 6단계였으나 지난해에는 5단계로 내려앉았다.
김균미기자 kmkim@seoul.co.kr
2006-7-5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