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보령시 오천면의 외딴섬 녹도. 이 섬에는 술집이 한군데도 없고 그나마 가게에서는 소주와 맥주 등 술병을 구경할 수조차 없다.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 술 판매를 금지한 지 16년째가 되는 ‘무주도’(無酒島)이다. 대천항에서 24㎞ 떨어져 배로 1시간쯤 걸리는 녹도에는 요즘 하루 30∼40명의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주민들은 꽃게, 새우, 멸치, 오징어 등을 주로 잡아 생계를 꾸려가고 있다.
|
이 섬에서 술을 팔지 않게 된 사연은 이렇다. 지난 1991년쯤 이곳에는 술집이 7∼8곳이나 됐다.60가구에 주민이 200여명에 지나지 않는 섬치고는 엄청나게 술집이 많았다고.
그러다 보니 남자들이 매일 술을 마시고 싸워 하루도 조용할 날이 없었다. 술집이 ‘작부집’이다 보니 집집마다 부부싸움도 그치지 않았다.
더 큰 문제는 고기잡이를 나가지 않는 것이었다. 가장이 술에 취해 유일한 생계수단인 어로작업을 못하는 일이 잦다 보니 살림이 말이 아니었다.
보다 못한 주민들은 마을회의를 연 뒤 ‘술 판매 금지조치’를 전격 결의했다. 물론 부녀자들이 앞장섰다.
처음엔 술집들이 적잖이 반발했다. 그러나 점차 주민의 발길이 끊기자 하나둘씩 문을 닫았다.5곳이던 구멍가게도 매상의 절반을 차지하던 술을 팔지 못하자 점차 줄었다. 한 가게 주인이 “진열돼 있는 술은 팔아야겠다.”고 버티자, 주민들은 돈을 걷어 술을 모두 사들인 뒤 폐기했다.
현재 이곳에는 가게만 하나 있다. 주인 복남점(66)씨는 “그때 가게들이 모두 문을 닫았고 7년 전 우리가 문을 열었다.”면서 “처음 오는 외지인이 술을 찾기도 하지만 단골 관광객들은 사정을 알고 들어올 때 아예 뭍에서 술을 사온다.”고 말했다.
금주를 하면서 ‘금연바람’도 불고 있다. 김한규(70)씨는 “한달에 한두 번 대천에 갈 때만 술을 마시다 보니 한두 잔에도 쉬이 취한다.”면서 “술을 덜 먹으니 담배 맛도 잃어 5년 전 끊었다.”고 자랑했다.
이장 김성용(68)씨는 “주민의 절반이 아예 술을 끊었고 담배도 젊은이들만 일부 피우고 있다.”면서 “술판매를 금지하면서 마을에 질서가 잡히고 낭비벽이 없어졌다.”고 웃었다.
보령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06-7-15 0:0:0 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