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제는 국제기구 파견 적임자를 각 부처가 아닌 정부 차원에서 뽑는다는 점에서 일단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선발권을 외교통상부가 갖게 되면서 외청 공무원들이 뽑힐 가능성은 크게 줄었다는 것이다.
게다가 공모제 도입과 함께 응모 범위도 조달·통계·특허·산림 등 소분류에서 재정금융, 과학산업기술, 농림해양 등 중분류로 개편됐다.
예를 들어 산림 공무원만 가능했던 임무관이 농림해양으로 통합되면서 농림·해양수산·농업진흥 공무원에게도 문호가 열렸다.
우려는 최근 조달청의 시카고 구매관(4급)에 국무조정실 인사가 발탁되면서 현실이 됐다. 조달청은 ‘제몫’을 지키지 못한 데다 예산 부담 문제까지 대두됐다. 국무조정실로 복귀할 시카고 구매관의 체재비와 급여까지 부담할 판이기 때문이다. 과장 보직이 하나 없어지는 만큼 인사 병목현상도 안게 됐다. 내부에서는 전문성을 확보하고 인정받는 노력이 부족하면서 자칫 5곳의 해외 구매관 자리 모두를 빼앗길 수 있다는 위기감마저 감돈다.
벨기에, 스위스, 미국 등 3곳에 주재관을 두고 있는 특허청도 사정은 비슷하다. 임기가 끝난 제네바 국제연합사무처 및 국제기구대표부 참사관(4급) 공모를 앞두고 있다. 외청 가운데 인력풀이 가장 우수하다고 자신하는 만큼 “외부 인사가 1∼2년 책을 봐서 알 수 있는 업무가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이면서도 긴장된 모습이다.
유일하게 인도네시아에 임무관(4급)을 두고 있는 산림청도 “여기까지야 누가 눈독을 들이겠느냐.”고 하면서도 마음이 편치 않다.
대전청사 관계자는 “선발권을 가진 외교부는 최소한의 전문성만 있으면 언어능력에 우위를 둔다.”면서 “상대적으로 국제업무를 다룰 기회가 적었던 외청 공무원들은 불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