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발점인 송림공원은 하동이 자랑하는 명소이다. 조선조 영조 21년(1745년) 당시 도호부사 전천상이 강바람과 모래바람으로부터 농사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조성한 소나무 숲으로 섬진강의 은빛 모래와 1000여그루의 노송이 어우러져 ‘백사청송(白沙靑松)’이라는 말이 생겼을 정도다.
이곳을 출발,5분 정도 달리면 곧바로 벚나무 단풍길이 나온다. 봄에는 눈처럼 하얀 꽃을 피우던 벚나무가 잎을 붉게 물들인다. 이 길을 따라 가다보면 ‘하동 꿀배’로 유명한 만지배밭이 보이고, 배밭이 끝날 즈음 10㎞코스 반환점이 나온다.
조금 더 달리면 악양 개치삼거리에 도달한다. 풀코스 주자들은 오른쪽으로 돌아 악양면사무소쪽으로 들어 가지만 하프코스 주자들은 평사리공원 입구 반환점까지 직진해야 된다.
개치삼거리에 이르면 평사리 황금들판 ‘무딤이들’이 눈앞에 펼쳐진다. 무려 80만평에 달하는 들판 한가운데 ‘부부 소나무’ 두그루가 자태를 뽐내고 있다. 특히 개치삼거리에서 악양면사무소를 돌아 외둔삼거리까지 2㎞구간 곳곳에는 빨갛게 익은 ‘악양대봉감’이 주렁주렁 매달려 늦가을의 운치를 더 해준다.
면사무소를 지나면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 나오는 최참판댁이 보이고,‘용이아제’와 애틋한 사랑을 나눴던 ‘월선이네’ 주막도 보인다.
이를 뒤로 하고 시원한 강바람을 맞으며 화개장터를 향해 계속 달리면 조금 못미쳐 영·호남 화합의 상징인 ‘남도대교’가 나온다. 이곳이 풀코스 반환점이다.
이번 대회 실무담당 박귀언(36·여)씨는 “그림같은 풍경을 보고, 맑은 공기를 마시며 달릴 수 있는 환상적인 코스”라며 “대회에 참가한 마라톤 마니아들은 절대 잊지 못할 것”이라고 자랑했다.
하동 이정규기자 jeong@seoul.co.kr
2006-11-6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