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농촌진흥청이 1998년 사료용 보리 사업화에 성공한데 이어 2004년부터 축산 농가에서 본격적으로 보리를 사료로 쓰기 시작하면서 지금은 사료용 보리가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으로 자리잡고 있다.20일 전남·북도에 따르면 두 지역 31개 시·군에서 올해 식량용이 아닌 소 사료용으로 파종한 보리는 전남 4700㏊, 전북 7400㏊ 등 1만 2100㏊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전남 나주시 1000㏊, 영광군 500㏊, 전북 정읍시 2340㏊, 김제시 1870㏊ 등이다. 나주시는 올 보리 파종면적이 2004년 117㏊에 비해 755%나 증가했다. 김제시도 올해 2004년 205㏊에 비해 812% 증가했다.
결과적으로 소를 많이 키우는 곳에서 보리재배가 크게 늘었다. 나주시 영광군 함평군 장흥군 영암군 정읍시 김제시 장수군 등이 대표적인 보리 재배면적 증가 지역이다.
사료용 보리는 전남·북에서 별도로 합산하는 식량용 보리 재배면적(3만 9000㏊)의 31.0%에 달한다.
사료용과는 달리 식량용 보리는 해마다 줄고 있다. 식량용 보리농사는 수매할 물량을 미리 농가에 배정해 심도록 하고 있다. 이를 어기면 수매를 하지 않는다. 식량용을 전국적으로 보면 해마다 생산량 기준으로 5%, 면적으로는 5∼7%씩 줄고 있는 추세이다. 보리는 사료용이나 식량용이나 같은 품종이지만 수확시기와 수확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
식용은 보리가 다 익은 뒤 알곡을 털어 낸다. 그러나 ‘총체보리’로 불리는 사료용은 알곡이 70∼80%쯤 익었을 때 줄기와 알곡을 통째로 베어내 비닐 포장지로 500㎏씩 돌돌말아 밀봉한 뒤 발효시킨다. 줄기와 이삭을 모두 수확한다고 해서 ‘총체 보리’라고 한다.
이전에 축산농가는 짚이나 수입한 마른풀(조사료)을 소 먹이로 사용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이 같은 조사료는 자급률이 80%선이다. 때문에 보리 사료는 농약과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소의 청정사료로 안성맞춤이다.
전통적으로 축산업이 성한 나주시의 경우 2005년 283농가가 494㏊에서 사료용 보리를 키워 38억원의 소득을 올렸다. 축산농가도 청정사료에 따른 고급 원유 생산으로 납품가가 올라 45억여원의 추가소득을 기록했다. 나주시는 이들 농가에 트랙터와 사료용 포장 및 운반기계 구입비를 일부 지원, 복합영농으로 유도하고 있다. 소득으로 볼 때 사료용 보리는 ㏊당 110만원선으로 겉보리나 쌀보리의 67%,58% 수준이나 수확비용을 빼면 거의 90%선이다.
임영주 전남도 농정국장은 “사료용 보리는 식량용 보리재배 농가에 대체 소득작물로 부상했다.”면서 “내년에 사료용 보리 재배농가에 110억원을 지원하는 등 2009년까지 파종면적을 9000㏊까지 끌어 올리겠다.”고 말했다.
무안 남기창기자 kcnam@seoul.co.kr
2006-11-21 0:0:0 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