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항재개발사업의 실질적인 업무를 추진하고 있는 부산항만공사(BPA)는 28일 내년 초 북항재개발 사업에 대한기본 설계 때 친수공간을 더 늘릴 방침이라고 밝혔다.
BPA의 이같은 방침은 지난 27일 부산을 방문한 노무현 대통령이 북항재개발에 대한 보고를 받은 뒤 “북항이 상업·업무시설 위주가 아닌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친수공간 중심으로 개발이 바람직하다.”며 재개발 방향에 대한 견해를 피력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달 말 해양수산부와 BPA가 확정한 북항재개발 사업 계획의 변경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북항재개발 사업은 현재의 국제여객터미널과 1∼4부두, 중앙부두 등 2개 터미널 및 5개 부두 부지와 해양매립부지 등 모두 43만평을 국제해양관광거점과 시민휴식공간으로 재개발하는 사업이다.
마스터플랜에 따르면 매립면적 18만 9000여평을 포함해 총 43만평 가운데 20만평에 국제교류·업무(3만 3000평),IT·영상·전시(3만 7000평), 복합도심(4만 9000평), 해양문화(4만 7000평), 항만시설(3만 4000평) 등 5개 지구가 들어서며 나머지 23만평에는 친수공원과 도로, 수로 등 공공시설을 배치했다.
해수부는 북항지역을 호주 시드니나 두바이의 팜아일랜드 같은 한국의 랜드마크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해수부와 BPA에는 내년 초 기본 설계에 착수해 상반기 중 사업을 시행할 전담법인을 설립하고 2012년 일부 개방을 목표로 2008년 본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사업비만 9조 2000억원이 투입되는 부산의 최대역점사업이다.
부산 김정한기자 j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