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인천지역 434개 초·중·고교 가운데 2005년부터 추진한 인천 원어민 초청사업(IEP)에 따라 원어민 교사가 배치된 학교는 202개다.
하지만 원어민 교사가 배치된 학교라도 원어민 교사 혼자서 전교생을 상대해야 하는 터라 학생들이 원어민 교사에게 수업을 받을 수 있는 기회는 짧게는 1주일, 길게는 한달에 1시간이 고작이다. 원어민 교사의 주당 수업시간은 22시간이지만 2∼3시간 정도는 영어교사 등에게 할애하는데다 주 5일 근무여서 시간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초등학교는 학년·학기별 수업시간 편성
사정이 이렇다 보니 초등학교는 상당수가 학년별로 나눠 3·4학년은 1학기에,5·6학년은 2학기에 원어민 교사 수업을 편성하고 있다. 고등학교는 1·2학년만 대상으로 한다.
게다가 원어민 교사 수업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배정된 영어시간을 할애하는 방식이다. 김모(17·I여고 3년)양은 “2학년 때 시험기간을 제외하면 5∼6번 원어민 교사 수업을 받은 것 같은데 어떻게 진행됐는지 기억조차 없다.”고 말했다.
일부 학교는 ‘방과후 학습’을 통해 부족한 수업을 보완하고 있으나 원어민 교사가 크게 부족한 데 따른 한계를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교사 증원 예산이 걸림돌
때문에 원어민 교사 제도 도입 취지를 살리고 내실을 기하기 위해서는 원어민 교사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으나 예산문제가 걸림돌이다.
원어민 교사에게는 월급 180만∼250만원 외에 주택과 본국 왕래 경비지원 등 적지 않은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시교육청은 원어민 교사 배치를 올해 221개교,2010년까지 322개교로 늘릴 계획이지만 한정된 예산 때문에 1개교 1명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
●“차라리 우리교사에 투자하라” 요구도
이로 인해 예산의 효율적 활용 측면에서 원어민 교사에게 소요되는 재원을 기존 영어교사의 질을 높이는 데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도 교사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
초·중등 영어교사 해외연수 등에 투입되는 예산이 원어민 교사 관련 예산에 크게 못미치기 때문이다.
올해 원어민 교사에게 투입되는 예산은 시교육청 자체 18억 9900만원, 시전입금 50억 1800만원 등 69억 1700만원이다.
반면 초·중등 영어교사 해외연수 및 심화연수 등에 들어가는 예산은 모두 8억 2000만원에 불과하다.
특히 해외 인턴십 연수(4주)는 연수인원이 20명(전체 영어교사 1114명)에 불과해 해외연수를 가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원어민 교사는 학생은 물론 자문 등을 통해 영어교사에게까지 도움을 주고 있다.”면서 “원어민 교사와 상시적인 교류를 갖는 것이 단기간의 해외연수보다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시교육청은 원어민 교사 수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개선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07-1-18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