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시장은 메일에서 “‘3% 추가 전보인사’ 제도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오해와 불필요한 걱정이 있어 설명을 하고자 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이어 “우리 모두의 피와 땀을 좀먹고 있는 극소수의 부적격한 사람을 변화시키고 이를 거부한다면 퇴출시키는 시스템이 필요해 고육지책으로 시작하는 것이 ‘3% 추가 전보인사’”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3%라는 규모를 추가해 인사대상으로 설정한 것은 문제있는 직원들을 직접 골라내야 하는 실·국·과장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그들이 자칫 온정주의에 치우쳐 모처럼의 기회를 상실하지 않게 하기 위한 고육책”이라고 덧붙였다.
오 시장은 특히 “이러한 의미에서 마지막 한 사람도 그 사람의 개별적이고도 특별한 원인과 환경에 대한 개인별 심층면담 및 분석을 거쳐 우리가 가고자 하는 대열에 최대한 합류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부당하게 불이익을 당하는 직원들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것임을 거듭 약속했다. 그러면서 오 시장은 “어떤 부서장이 단지 자신과 친하지 않다는 이유만으로 자신이 가진 인사권을 전횡한다면 그 결과는 온전히 100% 해당 부서장에게 물을 것”이라고 밝혀 공정하게 제도를 운영할 것을 다짐했다.
오 시장은 끝으로 “만약 이번 조치로 우리 조직의 발목을 잡거나 존립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요소들을 완벽하게 없앨 수만 있다면, 이러한 아픈 치료는 더 이상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무원을 계속해서 퇴출시키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시장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직원들은 사무실마다 삼삼오오 모여서 수근거리며 누가 선택될지를 놓고 불안해 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출자 명단을 작성해야 하는 국장급 간부들도 곤혹스럽기는 마찬가지이다.
공무원들의 근무 태도는 매우 좋아졌다는 평이다. 연금매장이나 휴게실, 구내 이발소가 한산한 대신 사무실에는 직원들이 거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별관 구내 이발소 이발사 김영기(58)씨는 “이발하는 공무원이 하루 20∼30명에서 최근에는 10명도 안된다.”면서 “10년 동안 일을 했는데 이런 적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공무원노동조합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4만여 하위직 공무원은 시정의 주축”이라면서 “실무 직원만 내쫓는 무리한 구조조정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7-3-14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