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을 부르거나 부부간 호칭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호칭은 다른 지역에서는 ‘하대’의 의미로 쓰이면서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을 부르거나 호칭할 때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지역 사람들이 타 지역에서 사용할 때 종종 오해를 받기도 한다. 전라도 방언 속의 ‘자네’란 호칭을 사회 언어학적으로 규명하는 학술 세미나가 열려 관심을 끌고 있다.
조선대 강희숙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11일 이 학교에서 열리는 ‘전남 방언 여성 호칭어 연구’ 학술세미나에서 ‘전남방언 2인칭 대명사 자네의 용법’을 발표할 예정이다.
강 교수는 전남지역 토박이 100명을 대상으로 ‘자네’란 호칭의 사용 계층과 빈도, 이 말의 변화 추이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남성이 남성을 대상으로 ‘자네’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았고, 나이가 적은 사람이 많은 사람을 호칭할 때 쓰는 경우는 주로 40대 이상에서 나타났다.
40대 이하에서는 하위자가 상위자에게 ‘자네’란 호칭을 쓰는 사례가 크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자신보다 나이는 많지만 다정함을 표현하는 의미로 가까운 사람이나 친척 사이에 흔히 사용되던 ‘자네’란 호칭이 점차 사라져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부부간은 아내가 남편을 호칭하는 것보다 남편이 아내에게 사용하는 사례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60대 이상 여성들은 ‘자네’란 호칭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서로 비슷한 사이나 ‘상위자→하위자’의 상황에서 쓰이는 ‘자네’는 20대보다는 30대가 넘어서야 일반적인 호칭으로 선택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 ‘자네’의 사용은 대졸 이상보다는 고졸 이하의 학력을 가진 사람이 더 높은 빈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강 교수는 “전라도 방언에서 ‘자네’란 호칭은 매우 다양한 사회적 관계에서 여러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며 “2인칭 대명사와 같은 국어 호칭어 연구에서는 이같은 방언적 특성에 대한 면밀한 기술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07-5-11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