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와 기초자치단체가 공무원 철밥통 깨기를 시행한 데 이어 이번에는 각종 행사 때 관 중심의 권위적인 관행을 시민중심으로 바꾸는 ‘의식개혁’을 시도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시민중심으로 ‘의식개혁´
울산 남구는 16일 각종 행사에 참석하는 기관장과 정치인·지역 유력인사 등 내·외빈들을 대상으로 관행적으로 해오던 축사·격려사·환영사 등을 앞으로는 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많은 내·외빈들의 의례적인 인사말 때문에 행사 시간을 낭비하고 행사가 지루하게 진행되면서 행사 본래의 취지가 퇴색해 참가자들이 불편해 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울산 남구는 17일 개막하는 울산고래축제 때부터 내·외빈 인사말 시간을 없애고, 대회장이 내·외빈을 간단하게 소개하는 형식으로 치르기로 했다. 앞으로 모든 행사에 이 같은 방식을 도입한다.
김병길 부구청장은 “행사 때마다 참석한 내·외빈 가운데 인사말을 할 대상자와 순서를 정하는 것이 고민거리였다.”면서 “시민 중심의 행사를 위해 내·외빈 인사말을 없애기로 했다.”고 말했다.
울산시는 박맹우 울산시장의 제안에 따라 시상자 위주로 진행하는 각종 시상식 관행을 수상자 중심으로 바꾸기로 했다.
상을 받는 사람이 참석자들을 등지고 단상을 향해 서고 상을 주는 사람이 참석자들을 향해 서는 현재의 시상식 방식을 수상자가 참석자들과 마주보게 서고 시상자는 참석자를 등지는 방식으로 개선한다.
또 표창 때 ‘OOO’라고 호명만 하던 것을 이름 뒤에 ‘님’이라는 존칭을 붙이기로 했다. 박 시장은 “시상식의 주인공인 수상자가 참석자들과 마주보며 축하를 받는 것이 옳은 데도 상을 주는 사람을 부각시키는 권위주의시대 시상식 관행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어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전국적으로 확산 기대
울산시는 올해 초 공무원 철밥통 깨기를 위한 인사쇄신책의 일환으로 실·국장으로부터 추천을 받지 못한 사무관 이하 공무원에 대해 일년 동안 현장일을 맡긴 뒤 평가를 해 퇴출이나 정식부서 복귀를 결정하는 시정지원단제도를 도입해 전국으로 확산시켰다. 울산에서 시작된 ‘관행 깨기’와 ‘권위의식 깨기’도 ‘철밥통 깨기’처럼 전국적으로 확산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울산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07-5-17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