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이날 이같은 최종 도시개발구역지정안을 발표하고 홍성군 홍북면 신경·대동·상하·봉신리 및 예산군 삽교읍 목·신리를 개발구역으로 발표했다.
이곳에는 도교육청, 도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IT(정보기술)·BT(생명공학기술) 산업용지(20만평), 대학용지(10만평),5만평의 규모의 산·학·연단지도 조성된다.
이 신도시 개발에는 1조 7840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가며 충남개발공사,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에서 토지를 일괄 매수한 뒤 3단계로 나눠 추진한다.
1단계는 2012년까지 부지 212만평을 조성하고 도청과 유관기관 등을 옮겨 4만 5000명을 수용한다.
2단계는 2022년 말까지 87만평의 부지를 추가로 조성한 뒤 공동주택과 상가 등이 들어선다.
이 때쯤이면 인구는 9만 5000명으로 늘어난다.
이어 도시발전 계획을 적극 추진,2030년까지 12만명의 자족 신도시로 완성시킨다는 게 최종 개발안이다.
도는 이달 안으로 이 신도시 개발안에 대한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와 건교부 장관의 승인을 거쳐 도시개발구역을 최종 지정, 고시할 계획이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