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는 29일 “이용객 수요와 정부 재원 등을 감안할 때 중전철에 들어가는 수조원의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중전철 포기를 선언했다. 그동안 안전성 등을 이유로 중전철이 건설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김포신도시와 김포공항간 23㎞를 잇게 될 김포 전철은 김포공항역에서 서울지하철 5호선 및 9호선, 인천공항철도 등과 연결된다.1조원의 사업비를 들여 2009년 말 착공, 김포신도시 입주가 시작되는 2012년에 완공된다.
시는 전철추진위원회를 구성한 뒤 용역 발주를 통해 기종과 구체적인 노선 등을 논의해 나갈 방침이다.
건설교통부는 2004년 7월 김포신도시 조성 계획을 발표하면서 광역교통망 형성을 위해 경전철을 건설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건설비가 중전철의 절반 이하에 불과하고 소음·분진 등을 유발하지 않는 점 등이 고려됐다. 김포시는 이를 수용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중전철 건설을 공약으로 내세운 강경구 시장이 지난해 당선된 이후 중전철로 급격히 선회했다. 강 시장은 김포신도시와 검단신도시를 잇는 철도 계획 및 남북통일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안전성이 뛰어나고 대량수송이 가능한 중전철이 타당하다는 견해를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건교부는 중전철로 전환하면 사업비가 1조원에서 2조 4000억원으로 증가하는 데다, 사업기간도 4∼5년 늘어나는 등 각종 문제가 발생한다며 난색을 표명했다.
결국 김포시가 이같은 점들을 수용함으로써 전철 방식을 둘러싼 논란은 경전철로 매듭짓게 됐다.
김포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07-6-30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