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풍 강북구청장의 고민은 취임식이 끝나자 마자 시작됐다.
특유의 친화력을 살려 시청을 이웃집처럼 드나들었다. 누구든 붙잡고 강북구의 딱한 사정을 호소했다. 성과는 건설 계획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미아 뉴타운사업이 미아 6·7동 제6·12구역의 착공으로 신호탄을 올렸다. 공사가 2012년까지 줄줄이 예정돼 있다.
미아삼거리의 균형발전촉진지구에도 43층 빌딩과 1000석 규모의 공연장, 유통센터 건설 등이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
지난 민선 3기 때 우이동∼신설동 경전철 사업을 확정하고 4기에 들어서는 번동∼월계동 경전철을 따낸 것도 다른 자치구의 부러움을 샀다.
그러면서 5월에는 전국 최초로 ‘도시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했다. 주민이나 공무원들이 재개발 가능 시기나 요건 등을 알고자 할 때 전에는 1개월 이상 걸렸으나 지금은 단 3분이면 ‘OK’다.
교육환경 개선에 매진했다. 지역의 고등학교가 대부분 명문이긴 하지만 5개교밖에 없는 게 속상했다. 그래서 2009년에 국내 최초의 친환경 행복중·고교를 개교한다.2003년 1억원에 불과한 교육경비 보조금을 올해 무려 10억원으로 늘렸다. 서울시 영어체험마을을 수유동에 유치한 것도 값진 성과다.
공원조성에도 신경을 많이 썼다. 삼각산 도시자연공원·생태연못공원·무궁화공원·수유1동 마을공원을 조성(또는 예정)하고 솔밭공원·오현어린이공원을 보강(또는 예정)했다. 재활용선별처리시설도 다음달에 완공한다.
다만 북한산국립공원에 삼각산이라는 옛 이름을 찾아주지 못하고, 드림랜드와 우이동유원지를 제대로 개발하지 못한 게 마음에 걸린다.
김 구청장은 “반신반의하던 구민들이 이제는 먼저 앞장서는 모습을 볼 때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7-7-13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