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길로 막힌 영등포1동·신길2동104m 지하횡단보도 개설 추진
철도로 인해 교통섬이 된 서울 영등포 1동과 신길2동 주민들을 위한 ‘아주 특별한’횡단보도(위치도)가 생길 전망이다.6일 영등포구에 따르면 영등포1동과 신길2동 방향에서 지하철5호선 신길역을 직접 연결하는 국철 횡단 지하보도 개설사업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는 용역을 발주했다.영등포1동과 신길2동지역은 지상으로 나있는 지하철 1호선이 지하철 5호선 신길역이 있는 영등포2동 방향으로의 접근을 가로막고 있다. 때문에 주민들은 코 앞 5호선 신길역을 이용하려면 영등포 지하차도나 1호선 신길역으로 15분이상의 돌아가야 하는 불편을 겪어왔다.
지하보도가 생기면 5호선 신길역을 이용하기 위해 15분이상 걸어야 했던 접근시간이,3∼4분이면 충분해진다. 인근 지역주민들의 불편해소는 물론 지역 내 거주하는 3600여명의 장애인과 노약자, 영등포 여고를 비롯한 3개교 3800여명의 학생들의 생활환경도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민 이갑재(60·신길2동)씨는 “눈 앞의 역을 가기위해 ㄷ자로 동네를 빙 돌아만 하기 때문에 동네 주민들이 겪어온 불편이 이만저만 아니다.”고 말했다.
영등포구 관계자도 “교통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철도가 오히려 교통 불편을 야기하는 아이러니한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셈”이라면서 “위아래 동네의 생활환경에도 불균형을 만들어 지역주민 간 갈등과 잦은 민원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이를 해소하기 방안으로 영등포1동 567번지에서 5호선 신길역을 잇는 104.7m(폭 6.6m·높이 5.5m)길이의 지하 횡단보도 설치가 검토되고 있다.
지상 경부선과 지하철 1호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특수공법이 사용되는 공사엔 총 사업비 177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 용역 시행, 도시계획시설결정 등을 거쳐 2010년쯤 공사에 들어가 2011년쯤 완공한다는 마스터플랜을 세워놓았다. 현재 지하철 5호선 신길역은 하루 5000명, 연인원 180여만명이 이용 중이지만 공사를 마치면 이용객은 하루 1만 5000명, 연인원도 540만명 정도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김형수 구청장은 “오랜 세월동안 단절되어 온 지역간 균형발전을 꾀하고 지역민의 불편해소는 물론 불합리한 도시환경에도 긍정적 변화를 안겨줄 수 있는 방안”이라면서 “사업 완수에 전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07-12-7 0:0: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