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는 당초 서기관급 이상 간부 공무원의 자택 앞에서 ‘선물 배달 여부’를 감시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그러나 “너무 과하지 않으냐.”는 자체 판단에 따라 제보 등으로 접수된 케이스에 대해서만 확인하기로 한 발짝 물러섰다. 사생활 침해 등의 논란을 우려한 때문으로 보인다.
노조 관계자는 “이미 개설한 신고센터에 구체적 제보가 접수될 경우 해당 공무원 집을 직접 방문해 확인하고, 선물 등이 상식을 벗어난 수준일 경우 이를 공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또 시 청사내 구내식당 입구와 사업소 등 33곳에 ‘당당한 공무원이 나라를 바로 세운다. 금품·선물 안 주고 안 받는 공무원 노동자가 되겠다’는 내용의 현수막을 내걸었다.
이에 앞서 광주시 공무원들은 최근 간부회의에서 ‘명절·휴가·해외출장 때 선물을 받지 않는다’ ‘골프·유흥업소 출입을 자제한다’ ‘민원인과 이해관계인으로부터 향응·선물을 받지 않는다’ ‘직위를 이용해 개인적인 청탁을 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청렴 결의문’을 채택했다.
광주시 공무원들의 이런 움직임은 최근 국가청렴위가 발표한 ‘2007년 공공기관 청렴도’에서 광주시가 ‘꼴찌권’에 머물면서 나온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엔 모 간부 공무원이 휴가중에 건설업체 관계자와 해외골프에 나섰다가 감사원의 조사를 받는 등 물의를 빚기도 했다.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