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개발의 직접 영향권인 김제시 진봉·죽산·부량면 일대는 지난해 초 3960㎡에 3000만∼3500만원 하던 논값이 최근 5000만원선까지 올랐다.
새만금 배후 핵심지역인 진봉면 심포 지역은 6000만원을 호가하고 있지만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 심리로 매물이 나오지 않고 있다.
김제시 죽산면 종신리 일대 밭은 3.3㎡에 4만∼4만2000원으로 2007년 2만 5000원보다 68%나 급등했다.
군산지역은 새만금개발과 경제자유구역지정 영향으로 개발붐이 불면서 농지값이 폭등했다. 군산시 성산면 둔덕리와 성덕리는 논 3.3㎡에 40만원으로 2006년 10만원에 비해 4배나 올랐다. 대야면 죽산리와 지경리도 1년 전보다 25% 상승했다.
고창군 무장면 덕림리 일대 밭 역시 3.3㎡에 2만 5000원으로 1년 전 1만 5000원보다 66% 상승했다.
새만금 간접 영향권인 고창·정읍 일대 농지값도 들썩이고 있다. 정읍시 감곡면 대신리 논값은 3.3㎡에 3만 5000원으로 2006년 말 2만 3000원보다 52% 올랐다.
전북도 관계자는 “새만금 내부개발이 가시화되면서 도내 서부지역 땅값이 급등하고 있으나 실제 개발사업이 이뤄지려면 상당 기간이 지나야 한다.”면서 “투기 목적의 농지 구입을 철저히 가려낼 방침”이라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