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6월9일부터 동구와 기장군 등 12개 구·군에서도 여권 발급 업무를 취급하게 돼 16개 구·군 어디서나 여권 발급이 가능해진다고 29일 밝혔다.
부산시 등에 따르면 현재 여권 발급시 인지대 수입금을 국고에 입금한 뒤 인건비 및 운영비 등으로 인지 수수료의 10%를 보조금으로 받고 있다. 그러나 내년부터 배 이상 오른 22% 정도가 보조금으로 지급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여권 발급시 단수 여권은 2만원,10년짜리는 5만 5000원의 인지 수수료를 받고 있다.
각 구청은 여권 업무가 수입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지역 각 구청은 여권 업무 취급으로 연간 1억 5000여만원가량의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여권 발급이 새로운 수익원으로 떠오르자 여권발급 업무시간을 연장하는 등 신청자 유치를 위한 기초자치단체들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앞서 지난해 6월 문을 연 부산 서구청은 6일부터 여권 관련 업무시간을 오전 8시부터 오후 7시까지 2시간 연장했다. 또 관내 학교와 아파트 관리사무소 등에 홍보 공문을 보내고 직원의 가족이나 친지들에게도 여권 발급을 독려하고 있다.
또 같은해 5월 문을 사하구청은 지난 4월부터 여권 발급 여부를 문자메시지로 신청인에게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대 고객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신청자가 늘어날수록 각 구청의 수익이 늘어나는 만큼 최대한 많은 신청자들을 유치하기 위해 구청간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부산에서는 35만 9800여건의 여권이 발급됐었다.
부산 김정한기자 j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