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1회용 교통카드로 대체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하철과 전철의 종이승차권이 다음달부터 없어진다.서울시는 5월1일부터 수도권 전 노선에 종이 승차권 대신 ‘1회용 교통카드’를 도입한다고 21일 밝혔다. 1회용 교통카드 도입으로 연간 4억 5000만장가량 발급되는 종이 승차권의 제작비용(31억원·장당 6.8원)이 절감된다. 또 지하철 매표인원 약 800명이 승강장과 개찰구에서 제공하는 지하철 서비스 질이 한 단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 교통카드는 지하철·전철 역사에 설치된 ‘1회용 발매·교통카드 충전기’에서 목적지를 선택한 뒤 운임과 보증금(500원)을 투입하면 된다. 하차 후 ‘보증금 환급기’에 1회용 교통카드를 넣으면 보증금 500원을 돌려받는다. 하지만 잃어버리거나 이용자의 부주의로 훼손된 경우엔 보증금(500원)을 돌려받을 수 없다.
기계 조작이 익숙지 않은 노인이나 시민들이 상당한 불편을 느낄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경로 우대자와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무임승차 대상자에게 지난해 11월부터 여러 차례 사용할 수 있는 우대용 교통카드를 발급해 주고 있다.
김경호 서울시 교통기획관은 “종이승차권 발행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이고 역무 인력 축소를 통한 경영개선과 서비스향상을 위해 1회용 교통카드를 도입했다.”면서 “당분간은 종이승차권과 1회용 교통카드를 병행해서 사용하고 이르면 9호선이 개통하는 때부터 종이승차권을 없애겠다.”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09-4-22 0:0:0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