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서울시의회 공동 4월 의정모니터
서울신문과 서울시의회가 함께 하는 4월 의정모니터에서는 생활 속에서 느끼는 시정의 불편함을 꼬집는 날카로운 의견이 많았다. 또 본격적인 나들이철을 맞아 버스, 지하철 문제점 지적도 잇따랐다.‘버스정류 안내소에 현재 위치, 주변 주요 건물 등이 표시된 지도를 붙이자.’ ‘시내 버스 노선도에 주변 관공서나 관광지 등을 표시하자.’ ‘지하철 차량 턱을 낮추자.’ 등 의견도 있었다. 4월 한 달 동안 제안된 75건의 의견 중 14건을 3차례에 걸친 심사 끝에 우수의견으로 선정했다.
●버스, 지하철 보다 편리하게
이재경(41·서대문구 북가좌2동)씨는 “얼마전에 버스로 강남에 갔다가 목적지를 찾는 데 애를 먹었다.”면서 “버스 정류장에 큰 건물이나 관공서를 나타내는 지도도 없고 지나가는 사람들도 없어 낭패를 당했다.”고 말했다. 지하철역 출구에는 주변 건물이나 관공서를 표시한 커다란 지도가 있어 목적지 찾기가 편하지만 버스 정류장에는 그런 지도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는 “버스를 이용하는 노약자나 외국인 관광객에게 서울은 미로처럼 느껴질 것”이라면서 “중앙버스 정류장에 이상한 광고를 할 것이 아니라 시민들의 편의를 위한 지도를 부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지하철이나 버스 노선도에 행정기관을 표시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황덕순(53·송파구 가락2동)씨는 “버스나 지하철에 내려서야 주변에 무슨 행정기관이나 관광 명소가 있는지 알 수 있다.”면서 “이번 정류장에서 내려야 하나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야 한다.”고 불편함을 호소했다. 그는 “노선도에 중요 기관이나 관광명소를 표시해주면 누구나 쉽게 목적지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대안을 제시했다.
서울 수돗물인 아리수 홍보에 대한 제안도 있었다. 연선옥(23·서대문구 대신동)씨는 “깨끗하고 안전한 서울 수돗물인 아리수를 국제·국내 항공기 기내 서비스에 이용하거나 공항에서 무료로 나눠주자.”고 말했다. 이를 통해 아리수의 우수성을 국내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알리자고 했다.
이 밖에 지하철 차량과 차량 사이 턱이 너무 높아 휠체어가 이동하기 불편하다고 지적한 이대청(66·강북구 우이동)씨, 지하철 내 광고판을 이용, 미아찾기 운동을 하면 효과적일 것이라고 제안한 편현식(59·강남구 삼성동)씨 의견도 돋보였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09-5-13 0:0: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