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현행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운영방식을 오는 8월부터 서울, 부산 등 다른 대도시와 같은 수입금 공동관리 방식으로 바꾸기로 했다. 수입금 공동관리 대상은 인천지역 36개 간선·지선·좌석버스 업체의 버스 1975대이며 버스업계 전체의 운송수입금을 모아 회사별 운행실적대로 수입금을 나눠 갖는 방식이다. 시는 수입금 공동관리 방식의 준공영제를 운영하며 적자노선에 대한 지원 등으로 연간 300억원가량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시는 올해부터 기존 버스노선을 개편해 재분배한 뒤 민간업체에서 기피하는 적자노선은 인천교통공사가 직영하는 ‘인천형 준공영제’를 운영해 왔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09-6-19 0:0: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