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시내 지하공간의 체계적 활용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을 발주했다고 16일 밝혔다. 오세훈 시장은 지난 9월 동유럽 순방 중 “캐나다 몬트리올의 ‘지하도시’(underground city)를 서울에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언급한 뒤 “많은 시민이 몰리는 코엑스처럼 서울 시내에서 지하도시를 만들 수 있다.”고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겨울이 6개월 지속되는 날씨를 극복하기 위해 설계된 몬트리올 지하도시는 약 33㎞ 이상의 지하 터널이 12㎢ 이상 퍼져 있으며, 1600여개의 상점과 200여개의 식당, 호텔, 극장, 콘서트홀, 아이스링크 등을 갖추고 있다. 특히 지하철, 버스터미널 등과 연계된 접근성, 높은 천장과 자연 채광, 뛰어난 환기 시스템 등으로 미래도시의 전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가 발주한 마스터플랜은 도시 내 지하공간을 체계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부지 선정 및 관리 기준, 설계 지침 등을 총망라한 가이드라인이다. 시 관계자는 “지금까지 시내 지하공간의 개발에 대해서는 뚜렷한 기준이 없었다.”면서 “이번 기회에 지하공간을 도시계획적으로 접근해 유형별 설계·관리지침과 방재기준, 지하 네트워크 조성 등에 관한 토대를 닦을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가이드라인이 완성되면 이를 적용할 시범지구 2곳을 내년 8월까지 선정하기로 했다. 시범지구는 2020년까지 체계적이고 주변과 연계된 지하도시로 조성되게 된다.
지하도시는 지상공간과 마찬가지로 블록 단위로 개발되며 시설간 상호 연계와 지하주차장, 지하도로 등 기반시설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설계될 예정이다. 현재 도심내 여러 곳이 후보로 거론되고 있지만 시는 재개발 지구로 이미 지정된 도심 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도심 한복판의 경우에는 고층건물의 지하부와 복잡한 지하철 노선 등으로 인해 어려움이 많아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서울시 측은 “처음부터 만들어지는 계획도시인 만큼 비전을 명확히 하고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한 공간을 만든다는 방침”이라며 “해당 지역 지하 면적에 대한 규제를 풀면 건물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09-12-17 12:0: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