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색의 향연 ‘서울윈터페스타’, 오징어게임2·‘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울혁신파크, 일자리 시설 건립 땐 공공기여 최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경쟁률 600대 1 ‘DDP 루프탑투어’… 서울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성동형 스마트쉼터, 세계 4대 환경상 수상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세종시 과학벨트 조성 의미와 과제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과학계 “세종시 최고 콘텐츠, 정치 연계 우려”

 “날개는 달았지만 잘 순항할 수 있을지…”

 과학기술계는 11일 세종시 발전방안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포함된 데 대해 ‘미래의 먹거리 창출’이란 과학계 최대 사업이 ‘탄탄대로’로 올라설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일단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의 탄생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 민동필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은 이날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원천기술을 많이 만들어서 세계 과학선진국이 될 기초를 닦는 등 우리나라의 지식발전소를 지향하는 과학벨트가 최적의 입지를 찾았다고 생각한다”고 적극적인 환영의 뜻을 밝혔다.

 민 이사장은 “앞으로 과학벨트가 기초과학을 위주로 응용, 융합기술을 만들어내야 하는 만큼 세종시 주변의 정보기술(IT), 생명공학기술(BT) 기업·기관들과 대덕의 출연연구기관 기능이 쉽게 연결돼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며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과학이 사업으로 직접 연결된다는 점에서 지식기반 사회의 새로운 경제구조를 만들어낸다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과학도시 전문가인 김도년 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는 세종시 예정지역에 과학벨트 거점지구가 조성되는 것과 관련, “과학벨트는 세종시에서 최고 콘텐츠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 교수는 “그간 우리는 기초과학이란 개념이 잘 정립돼 있지 않았고 우리나라가 산업화, 선진국 진입에 이어 이제 세계를 선도하려면 원천기술을 개발해 사업화, 상업화시켜야 한다”며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을 중심으로 한 과학벨트는 세종시의 핵심적 기능을 수행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 교수는 또 “기초과학연구시설에다 문화, 교육, 경제 등을 갖추면 창의적 지식계층이 몰려들 것”이라면서 “특히 벨트내 대학 교육을 통한 연구인력 충원, 과학자들의 연구개발이 활성화하면 BT 등 첨단기업들이 자동으로 주변에 몰려들 것”이라며 미국 MIT, 보스턴 등을 예로 들었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김상선 사무총장은 “과학벨트가 국가적으로 큰 사업이었는데 그간 법안도 예산도 잘 안된 상황에서 이번에 세종시와 연계돼 사업에 시동이 걸린 것은 굉장히 환영할 일”이라며 “일단 국가정책적으로 결정된 만큼 그간 과학벨트 입지 논란도 중단하고 어떻게 최대 규모의 벨트로 키워나갈 것인지로 중지를 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세종시 발전방안의 제도화를 위해서는 행복도시특별법 개정이 필수적인 만큼 이 과정에서 치열한 정치적 공방이 벌어질 경우 사업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와 관련, 김 총장은 “세종시 사업 자체가 정치적으로 잘 진행되지 못하면 국가적으로 중요하고 비정치적인 이슈인 과학벨트가 정치이슈화될 수 있다”며 “정치권에서도 과학벨트 사업을 세종시와 연계해서 정치이슈화하지 말고 국가미래가 걸린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시설로서 관련 법안을 조속히 통과시키고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민 이사장은 “과학벨트 사업은 먼저 과학벨트특별법안이 통과돼야 하고 세종시 문제도 국민적 합의를 만들어야 한다고 본다”며 “과학적인 준비 과정은 시간이 걸리며 과학벨트는 정파를 초월해서 우리나라의 미래가 걸린 문제”라고 지적했다.

 도시설계 전문가인 김 교수는 토지이용계획의 조정 등 과학도시로서의 기획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무엇보다 현 정권 임기 내 조성해야 된다든지 하는 식의 시간에 쫓겨서 과학벨트 사업을 수행해서는 안된다”며 “충분한 기획이 중요하고 과학자가 적극 참여해 모두가 공감하는 비전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또 “과학벨트 ‘성공 척도’를 단계별로 마련해야 하고 한 차원 높은 국제적 참여와 홍보 마케팅 전략 역시 중요하다”며 “과학연구와 첨단산업 간 연계를 위한 전략 기능을 도입하고 이른바 ‘맞춤형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교수는 “행정가보다는 전문가 중심의 전담개발 조직도 가동해야 한다고 본다”며 “특히 ‘선도한다’는 의미의 기함프로젝트(Flagship Project)를 통한 신뢰와 모델을 제시해야 하고 정부는 적극적인 공공재정 투입과 기반시설을 선행적으로 조성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교과부가 주도해온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추진지원단 편경범 단장은 “과학벨트가 세종시란 날개를 달고 ‘아시아의 실리콘밸리’를 향해 힘차게 나아오를 것”이라며 “앞으로 과학, 교육, 산업계, 지역의 요구를 반영해 과학벨트의 기능을 다양화하고 전국으로 확장할 것”이라고 벨트 조성의 기본 방향을 밝혔다.

 연합뉴스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