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광주발전연구원이 마련한 ‘혁신도시와 연계한 광주 인근 지역 발전 방안’ 용역 최종 보고서에 따르면 광주시와 나주혁신도시, 장성, 담양, 화순, 함평 등을 연계 개발하는 ‘광역 개념의 도시 발전구상안’을 담고 있다.
이는 ▲광주 신시가지와 구도심 트윈 코어(2개의 핵) 유지 ▲광주 인근 지역 시·군을 연계 개발하는 5대 광역개발축 형성 ▲순환형 광역 교통망 확보 ▲첨단·녹색문화 에코벨트 구축 등이다.
이 가운데 ‘5대 광역개발축’은 광주와 나주 혁신도시, 장성, 담양, 화순, 함평 등을 아우르는 동일 교통·주거권 개발이 핵심이다.
‘광주~나주혁신도시’ 축은 식품, 생물산업, 혁신도시 클러스터와 연계한 녹색산업 거점으로 육성한다.‘광주~장성’은 나노산업, 물류·유통산업 단지로 키워 나간다.
‘광주~담양’은 무등산, 가사문화권, 첨단농업, 생태습지 등을 활용해 ‘전통문화거점’으로 발전시키고 ‘광주~화순’은 첨단의학, 바이오·헬스, 백신연구 등 생명·의료 거점권역으로 각각 개발된다.
‘광주~함평’은 생태체험, 친환경농업, 전원도시 조성 사업과 연계한 ‘생태관광 거점’으로 조성된다.
‘5대 광역개발축’ 구상이 구체화되기 위해서는 이들 지역을 아우르는 광역교통망 구축이 필수적이다. 광주시는 이를 정부의 ‘5+2광역경제권 개발 계획’에 기대를 걸고 있다.
정부는 이미 ‘5+2광역 경제권 선도프로젝트’에 포함된 광주와 전남의 인근 시·군을 연결하는 ‘광주 제3순환도로 건설’을 서두르고 있다.
총길이 100.86㎞의 제3순환도로는 모두 5개 구간으로 나뉘어 2019년까지 모두 3조 6697억원이 투입된다. 담양~장성~광주 임곡~나주 등이 포함된 1·2·3구간은 이미 착공했거나 설계에 들어갔다.
교통수요가 비교적 적고 무등산 등이 포함돼 난공사 구간으로 예상되는 담양 대덕~화순~광주 승촌 구간은 국토해양부가 경제적 타당성조사를 거친뒤 착공한다. 또 2019년까지 광주~혁신도시~나주간 광역철도와 광주~화순간 경전철이 건설된다.
박광태 광주시장은 “‘신 광주메트로 폴리탄’ 구상은 광주와 이웃 시·군을 호남권 최대의 내륙 거점도시로 발돋움시키기 위한 신 성장 프로젝트”라며 “이웃 시·군과 상생을 토대로 한 협조체제를 구축, 차분히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10-02-2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