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강릉과 홍천이 각각 커피와 인삼을 지역 특화 테마로 삼아 관광객들을 유인하고 있다.
강릉시는 ‘커피도시’로의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바닷가와 숲속에 커피업소들이 계속 들어서면서 커피 붐을 일으키자 아예 커피를 지역 대표 상품으로 키우려는 것. 강릉시는 시내 문화작은도서관에 마련된 커피도서관에서 15일 오후 2시 커피 만들기 체험행사를 마련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에티오피아산 등 5종의 커피를 로스팅부터 추출까지 참가자가 직접 만들어 맛보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커피나무 등도 전시할 계획이다. 또 다음달부터 매월 둘째, 넷째주 토요일 오후 2시부터 커피체험행사 및 커피를 맛있게 볶는 방법을 소개하는 커피 만들기 강좌를 운영할 예정이다.
강릉 지역에는 1980년대부터 안목 등 해안에 커피 명소가 들어서고 국내 커피 명장들이 지역에 정착하면서 현재 커피 관련 업소가 200여곳에 이른다. 직접 로스팅한 커피를 선보이는 로스터리숍도 30여곳에 달한다. 커피커퍼농원을 비롯해 커피 공장인 테라로사농원 등에서 5000여그루의 커피나무가 재배되는 등 커피에 대한 관심이 높다.
●강원 6년근인삼 33% 생산
홍천군은 13일 홍천메디컬허브연구소를 발족시키고 홍천 인삼의 명품화에 팔을 걷어붙였다. 홍천6년근인삼주식회사와 MOU를 체결, ‘홍천인삼 명품화사업단’도 출범했다.
그동안 홍천 인삼은 높은 품질에도 불구하고 타 지역 생산품 및 가공식품의 원재료·부재료로만 납품하면서 자체 브랜드 개발의 필요성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명품화사업단은 출범 후 전문인력 확충과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해외판로를 개척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홍천인삼 브랜드를 만들어 갈 계획이다.
또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먼저 사포닌을 비롯한 인삼 주요성분의 표준화와 냄새 제거 및 캡슐ㆍ태블릿형의 상품개발 등을 집중 연구할 방침이다.
김선영사업단장은 “강원 지역 6년근 인삼의 33%가 홍천에서 생산되고 있을 정도로 홍천군은 기후와 환경에서 인산 재배지로 최적이다.”며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명품으로 만들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강릉·홍천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2010-05-1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