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특성화 학습·조기졸업반 운영 ‘특색있는 학교’ 선도학교 지정받아
경기 화성 병점고등학교에 대한 화성시와 지역 주민들의 애정은 남다르다.2004년 이 학교가 개교하기 전에는 과거 태안읍(현 병점동) 지역에는 인문계 고교가 없어 지역의 우수한 학생들이 수원, 오산시 등 인근 도시로 빠져나갔다. 당시 태안 지역은 택지개발 등으로 인구가 급증하면서 교육수요가 적지 않았으나 교육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했다.
때문에 화성시와 지역 주민들은 인문계 고교 설립을 강력히 요청했고, 교육청은 이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병점고를 설립했다.
설립이후 시민들은 병점고를 명문고교로 육성하자며 발벗고 나섰다. 태안 출신 기업인, 사회단체, 종친회원 등이 주축이 돼 ‘화성제일장학회’를 설립, 학교 발전을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성적 우수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는 것은 물론 해외 교육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화성시도 시비 13억원과 도비 5억원, 교육청 15억원 등 모두 30억원을 들여 병점고교에 기숙사를 건립했다. 또 지역 인재육성을 위해 병점고교를 비롯한 관내 학교 지원사업에 매년 200억원 가량의 예산을 지원해 주고 있다.
병점고교는 지자체와 지역 주민들의 이런 성원에 보답이라도 하려는 듯 높은 대학 진학률을 기록하는 등 명문고교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올해는 졸업생 343명 중 283명이 4년제 대학에 합격했다.
특히 94.5%의 진학률을 보인 2008년에는 도내 260여개 고교중 경기과학고, 안산동산고에 이어 진학률 3위를 기록해 주위를 깜짝 놀라게 했다.
이 같은 성과는 학교측이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마련, 교육 활동을 내실화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교과특성화 프로그램을 비롯한 조기졸업반(정솔재) 운영, 맞춤형 진로지도, 선택형 수준별 보충학습 등은 학생들의 학력 신장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가운데 병점고가 자랑하는 정솔재반은 40여명 학생 전원이 유수 대학에 합격하는 등 저력을 발휘하기도 했다.
학년별로 우수 인재를 선발, 입학에서 졸업까지 학생 수준에 맞는 맞춤식 심화보충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수업이 끝난뒤에는 학생과 학부모가 모니터링을 실시해, 수업의 질을 높였다. 학교측도 우수 강사를 유치하는데 힘을 쏟았다.
올해 서울대 전기전자공학부에 입학한 졸업생 김현민(19)군은 “교과특성화를 통한 진로 관련 학습이 공부에 큰 보탬이 됐으며 특히 선생님과의 많은 상담이 진로에 대한 고민 해소는 물론 입시정보 습득에도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병점고는 올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특색있는 학교만들기’선도학교로 지정받은 것에 대해 크게 고무돼있다. 학부모들에게 사교육비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학생들의 적성과 관심분야에 따라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는 토대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학교측은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수학 투철인반 ▲각종 인증시험 대비반 ▲개인을 소질을 살리수 있는 관현악부 및 영자신문반 등 다양한 반을 운영하고 있다.
이달훈 교장은 “학생들의 학력 신장위해 나름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바른 인성이 참다운 실력을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원칙·예의를 중시하는 다양한 인성교육에도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10-05-18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