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부채납 대상 부지는 크게 3곳이다. 우선 신도림역 광장 8410㎡ 가운데 대성산업이 보유하고 있는 3804㎡가 포함된다. 그동안 공유지와 사유지가 혼재된 탓에 하루 7만 5000여명의 신도림역 이용자들이 이용할 쉼터가 부족할 수밖에 없었다. 대성산업은 이곳에 꽃모양 무늬의 공원을 조성해 계절에 따라 각양각색의 꽃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광장 중앙에는 10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연 무대와 만남의 장소도 갖춰진다. 또 신도림역 광장에 붙어있는 대성디큐브시티 사유부지 3655㎡도 기부채납 대상이다. 이곳에는 서울시내 처음으로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만나는 ‘문화공원’이 조성될 예정이다.
이와 별도로 구는 문화공원 아래에 대규모 지하광장도 조성할 방침이다. 지하광장은 신도림역을 비롯, 디큐브시티, 테크노마트, 홈플러스, 대우푸르지오 등 인근 지역을 하나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 관계자는 “내년 6월 최고 51층 높이의 디큐브시티가 완공되면 신도림역 일대는 원스톱 상업벨트로 탈바꿈하게 된다.”면서 “공장 매연이 뿜어져 나오던 신도림역 일대가 민관 협력을 통해 녹지공간과 상업시설이 어우러지는 곳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디큐브시티 완공되면 신도림역을 둘러싼 연탄·타이어·자동차공장들은 모두 주거·상업시설로 바뀌게 된다. 한국타이어공장터에는 푸르지오 아파트· 흠플러스가, 한국타이어 땅에는 테크노마트가 각각 입주했다. 대성연탄 부지에는 디큐브시티가 들어서기 위한 막바지 공사가 한창이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0-05-2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