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장현 2차관이 정 장관과 호흡 실·국장은 모두 옛 해양부 출신
해양 분야는 이명박 정부 들어 국토해양부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부처가 사라지는 서러움을 겪어야 했다. 정종환 장관도 해양 분야는 직접 업무를 다뤄본 적이 없다. 해운항만청 출신인 최장현 제2차관이 정 장관과 호흡을 맞춰 해양 분야를 이끌고 있다.
|
해양 분야는 실·국장급이 모두 옛 해양부(해운항만청) 출신이다. 국토부로 통합된 지 얼마 안 된 데다가 전문 분야이기 때문에 실·국장급은 다른 부처 출신이 맡기가 어렵다. 하지만 과장급에서는 건설·교통 분야와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곽인섭 실장 등이 리더
해양 분야에서는 곽인섭(행정고시 25회) 물류항만실장과 주성호(26회)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이 리더로 꼽힌다.
두 사람은 부산고 동문으로 곽 실장이 고등학교와 행시에서 각각 1회 선배다.
곽 실장은 2008년 물류정책관을 지낼 때 화물연대 파업을 일주일 만에 풀게 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옛 해양부의 해운·항만 분야와 교통 분야가 부처 통합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낸 첫 사례로 꼽힌다.
주 심판원장은 해양과 해운 분야의 전문가. 해양정책국장 시절 바닷물에서 리튬전지의 원료를 추출하는 기술개발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곽 실장은 업무 추진력이 강한 반면 주 심판원장은 인화와 덕을 강조하는 리더십으로 표현된다.
박종록(25회) 해양정책관은 직책이 국장이지만 직급은 실장급이다. 국토부로 통합되면서 국이 됐지만 해양 관련 연구·개발(R&D)과 해양 환경 업무, 전국의 연안관리 업무를 총괄하는 비중 있는 국이다.
●국장급 우예종 정책관 두각
국장급에서는 우예종(28회) 해운정책관과 임기택 해사안전정책관이 돋보인다.
우 정책관은 해운·항만 전문가로 서울지방항공청장도 지냈기 때문에 교통 분야도 두루 잘 아는 편이다. 업무 욕심이 많다.
임 정책관은 해양대 출신으로 5급 특채(선박직)로 공직에 입문했다. 2001년부터 국제해사기구(IMO) 산하 기국전문위원회(FSI) 의장을 지낸 덕분에 국제 해사 분야에서 영향력이 있는 인물이다. 정책개발 아이디어가 많고 공보관을 지내 정치적 감각까지 겸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윤학배 기획관 3개분야 꿰뚫어
윤학배(29회) 정책기획관은 국토부 통합과정에서 예산, 조직 등을 담당해 3개 분야를 꿰뚫고 있다. 차분하고 꼼꼼한 스타일로 윗사람들의 신망이 두터운 편이다.
서병규(32회) 해양환경정책관은 국장 가운데서 승진이 가장 빠르다. 허베이피해보상지원단, 마산지방해양항만청장 등을 지냈다. 차분하고 신사적이다. 강범구(기술고시 16회) 항만정책관은 항만건설 쪽에서 명망이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광재(24회) 물류정책관은 항공과 해운 분야를 두루 거쳐 물류정책관의 적임자로 손꼽힌다.
과장급에서는 손명수(33회) 해양정책과장, 송상근(36회) 장관 비서관, 박준권(기시 24회) 항만정책과장 등이 차세대 주자로 꼽힌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0-07-1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