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도에 따르면 2012년까지 저소득층을 위한 보금자리 주택 1만가구를 건설할 계획이다. 이는 정부가 수도권(60만가구)을 제외하고 2012년까지 전국에 건립할 예정인 보금자리 주택 5만가구 가운데 20%를 차지하는 규모이다. 비수도권 시·도 가운데 물량이 가장 많다.
도는 올해 포항 장량지구(1010가구), 경주 외동지구(499가구), 영주 가흥지구(400가구), 영양 동부지구(200가구) 등 4개 지구를 착공해 2012년 말까지 공급하는 것을 비롯해 경북 15개 시·군에 소형 임대 주택 1만 8514가구, 공공분양 4735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국민주택기금 및 LH 자금 1조 5000억원씩, 모두 3조원이 투입된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해부터 국토해양부와 LH 본사를 수차례 방문해 지역의 열악한 주거환경 실정을 설명하는 등 적극적인 물량 유치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최근 LH의 도시·택지개발 포기 선언으로 인해 보금자리 주택 건설 사업이 직격탄을 맞지는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당장 오는 10월 착공 예정인 포항 장량·경주 외동·영양 가흥 등 3개 지구에 대한 사업이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사업이 차질을 빚을 경우 당초 이 사업을 통해 기대했던 영세 근로자 일자리 5만개 창출이 어려워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우석 도 건축지적과장은 “정부가 추진하고 LH가 건립해 부도나 공사 중단 우려가 없는 안정적인 주택으로 여겼던 보금자리 주택 건설 사업의 차질이 예상돼 난감하다.”면서 “사업이 당초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 등에 적극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대구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10-08-2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