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격무에 어디 호소할 데도 없고…
‘옛날엔 5급 사무관의 위상이나 근무여건이 지금 같진 않았는데….’행정고시 관문을 통과하고 갓 배치받은 5급 사무관을 선망의 눈길로 바라보던 때가 있었다. 하지만 요즘 관가에선 옛날 옛적 얘기로 통한다. 최근 격무에 시달리는 ‘젊은’ 사무관이 늘면서 근무에 적응하지 못하고 중도포기하는 등 이상조짐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
현재 중앙부처 과장급이 초임 배치를 받던 199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5급 사무관은 수하에 직원 2~3명을 둔 어엿한 팀장급이었다. 일도 많지 않고 권위도 어느 정도 내세울 수 있는 주목받는 자리였다.
2000년대 들어 정부업무량이 늘어나고 업무가 세분화되고 비(非)업무성 보고가 증가하면서 중간 실무자인 사무관에게 일이 몰린다는 호소가 부쩍 늘었다. 청사에선 국정감사철이 아니라도 저녁마다 서류를 놓고 씨름하는 이들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장·차관의 각종 요구자료부터 연설문 작성, 행사준비 등은 대부분 사무관 몫. 여기에 국회 회기가 길어지면서 국회 보고자료, 인터넷을 통한 정보공개 같은 대외 요구자료도 처리해야 한다. 이른바 본업보다 파생 업무가 더 많다는 지적이다.
정부과천청사 한 부처의 4년차 사무관은 최근 국감자료 준비, 업무보고 등 과로가 누적된 나머지 스트레스성 우울증 진단을 받았다. 이 직원은 “휴가를 내고 싶지만 사무실에 알려지는 것도 찜찜해서 그저 참고 있다.”고 말했다.
●멘토시스템 공식화 해야
지난달엔 중앙부처의 한 여성 사무관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불상사도 있었다. 선후배들과도 잘 어울리는 등 대인관계는 원만했지만 야근과 새벽 퇴근 등 과중한 업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초임 땐 ‘나이 어린 초급관리자’로서 실무를 잘 모르다 보니 연차 높은 6·7급이 눈치를 주는 경우도 왕왕 있다. 3년차인 행정안전부 5급 사무관은 “업무를 빨리 익힌다고 해도 눈치 빠른 일처리, 원만한 대인관계는 오랜 경험에서 우러나올 때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보고서 작성 등은 고시 출신에게 맡기는 분위기가 지배적인데 처음엔 잘 몰라서 헤맬 때가 많다. 하지만 딱히 도움을 요청할 데가 없는 경우가 많다.”고 고충을 털어놨다. 멘토시스템이 비공식으로 운영되긴 하지만 이를 아예 공식화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온다.
이렇다 보니 상대적으로 일이 편하거나 야근을 덜하는 법제처, 국방부 같은 부처로 전출을 자원하는 사무관들이 늘어나는 추세다. 행안부에 따르면 2006년 신임관리자과정 교육 도중 1명이 무단결근 등 근무 부적응으로 ‘아웃’되는 보기 드문 사례도 있었다.
행안부의 한 과장은 “5급 후배들을 일컬어 ‘청사의 꺼지지 않는 불빛’이라고 자조적으로 부르기도 한다.”면서 “모든 직급이 힘들겠지만 조직의 허리에 해당하는 사무관들에 대한 배려가 필요한 시점인 것 같다.”고 조심스레 제안했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0-10-1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