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23일 운행을 시작한 경기순환버스를 이용할 경우 기존의 다른 교통수단보다 통행시간을 평균 33분 단축하고, 비용도 하루 1000원가량 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따르면 기존의 교통수단보다 통행시간이 줄어들었다고 답한 이용객이 93.0% 345명이었다. 또 73.7%는 이 같은 이유로 순환버스를 이용한다고 답했다.
또 순환버스를 이용하면 기존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보다 통행시간이 평균 33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도를 이용하는 승용차보다는 12.6분, 일반버스보다는 36.4분, 지하철보다는 41.0분 통행시간이 각각 단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10월 현재 하루 6000명에 가까운 전체 경기순환버스 이용자로 확대할 경우 통행시간 단축에 따른 경제적 가치는 연간 100억원에 달할 것으로 경기개발연구원은 추정했다.
또 기존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에 비해 1회 평균 403원, 왕복 806원의 통행비용이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됐고, 통근 및 통학 수단으로 이용할 경우 한달 2만원의 비용을 아낄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설문조사 응답자의 68.2%가 출퇴근과 통학용으로 경기순환버스를 이용한다고 답했다.
순환버스 운행 전 이용 교통수단은 지하철·철도가 36.2%로 가장 높았으며 일반버스 27.4%, 승용차 21.1%, 시외·고속버스 13.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승용차에서 순환버스로 전환한 비율이 높아 대기 오염 및 유류비 절감에 한몫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용 시 불편사항으로는 배차간격(42.5%), 버스도착 정보 부족(29.9%) 등을 꼽아 배차간격을 초기 계획대로 20분 이내로 단축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경기순환버스는 서울 도심을 통과하지 않고 외곽순환고속도로를 경유해 경기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버스로 성남∼부천, 성남∼고양, 부천∼의정부, 안양(의왕)∼의정부, 안양(의왕)∼고양 등 5개 노선에서 운영 중이다.
이용요금은 광역버스와 같고 외곽순환고속도로 상의 청계·성남·구리·양주·김포·시흥 등 6개 영업소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경기순환버스는 초기 승차인원이 하루 1000여명에 불과했으며 통행시간 단축 및 통행비용을 절감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용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경기도는 밝혔다.
경기개발연구원 김채만 연구위원은 “1년내 1일 1만명 이용객을 목표로 경기순환버스를 운영했는데 목표치 달성이 빠른 시일 내에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배차간격을 20분 이내로 단축하고 영업소 정류장의 버스정보 안내시스템이 설치되면 이용 고객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10-12-0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