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발전연구원 “인프라 상호 활용 시너지 될 것”
울산·경북·강원 등 동해안권 원자력산업이 공동발전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동해안 초광역원자력벨트’를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울산발전연구원 황진호 박사는 21일 울산롯데호텔에서 울산·경북·강원 등 동해안 3개 시·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4회 동해안발전포럼’ 주제발표(동해안권 원자력산업 연계발전 방안)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황 박사는 “원자력산업과 관련한 지역별 사업특화 및 국가사업유치를 위한 협력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국가 차원에서 지역별 특성과 산업파급 효과를 고려해 동반성장 및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동해안 초광역원자력벨트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울산시의 ‘글로벌 원자력파크’ 조성 사업과 경북도의 ‘원자력 에너지클러스터’ 사업 등은 인근 지역과의 상호 보완적 특성을 고려해 협력방안을 확대해야 할 것으로 제시됐다.
또 강원 삼척과 경북 영덕이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신규 원전 유치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만큼 울산-경주-울진-삼척을 잇는 원전산업 연구 및 교육 인프라를 상호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박사는 이를 위해 ▲원자력발전 분야 기자재산업 협력 네트워크 구축 ▲원전관련 연구·교육 협력(산·학·연 협력 시스템 구축) ▲수소에너지 개발협력 강화 ▲동해안 초광역원자력벨트 구축을 위한 공동추진협의회 구성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각 지자체는 원전 관련 국책산업 유치를 놓고 과열 경쟁을 벌이고 있다.”면서 “동해안 초광역원자력벨트는 인접한 지역 간의 협력을 통해 원전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울산 박정훈기자 jhp@seoul.co.kr
2010-12-2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