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었다는 생각은 금물”
“40대가 공무원 준비를 하는 데 결코 늦은 때는 아닙니다. 늦었다고 고민하고 걱정할 시간에 기본서 한장 더 읽어야 할 때입니다.”
2009년 국가직 9급(우정본부) 공채에서 합격해 현재 서울 노원 공릉 우체국에서 일하는 김영석(52) 주무관은 공무원 시험에 있어 나이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나이가 많다는 것이 면접과 실무 적응 및 대민 봉사에 강점이 됐으면 됐지, 결코 감점 요소가 아니라는 것이 김 주무관의 생각이다.
하지만 김 주무관 역시 수험생 시절에는 필기시험에 합격하더라도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면접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걱정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평소 공직에서 일해 보고 싶다는 꿈을 꿔 오던 중 2009년부터 공무원시험 응시연령이 폐지된다는 소식을 듣고 약 8개월간 오직 ‘최종합격’만을 꿈꾸며 전력투구했다.”며 지난날을 떠올렸다. 당시 “그 나이에 면접에서 붙을 수는 있겠느냐.”는 등 주변의 우려도 많았고 그럴 때마다 김 주무관 자신도 불안감에 휩쓸리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일을 하겠다.”는 일념으로 모든 걱정을 접고 시험일까지 기본서와 기출문제집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
김 주무관은 “당초 걱정과는 달리 면접관들의 태도도 호의적이었고, 지난해 1월부터 시작한 실무수습에서도 20대 동기들과 어려움 없이 잘 지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동기들과 많게는 30살 정도 나이 차이가 났지만 수습생활에서 겪는 고민을 터놓고 말하고, 그럴 때마다 김 주무관은 큰 형으로서, 인생 선배로서 조언을 아끼지 않으며 유대감을 다졌다. 김 주무관은 “신임이지만 나이가 많다 보니 직급이 낮더라도 서로 존중해주는 분위기가 있고, 민원 업무에 있어서는 연륜을 바탕으로 민원인을 잘 대할 수 있는 점 등은 늦깎이 공무원만의 장점”이라면서 “나이보다 중요한 것은 투철한 공직관”이라고 말했다.
조정아 공릉 우체국장은 김 주무관에 대해 “업무 분야에 있어서는 일반 신임 공무원들과 크게 다를 바 없지만 사회생활을 통한 경륜을 바탕으로 탁월한 민원 해결 능력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무조건 숙이라는 말 많이 들었지만…”
“쉰을 바라보는 나이에 공무원 공부를 시작한다고 하니 합격하더라도 자존심 버리고 무조건 윗사람에게 숙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지만 상급자들의 배려에 고마울 따름입니다.”
2009년 국가직 7급(관세직) 공채에 합격, 관세청에서 일하는 김용회(48) 행정관은 공직 문화 적응에 어려움은 없었다고 말했다. 김 행정관은 “과장, 국장님들까지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고, 업무에 있어서는 나이를 떠나 직급에 따라 수행하기 때문에 특별 대우를 받는다는 부담감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나이에 따른 인사상 불이익, 공직 문화 적응 등에 대한 걱정보다는 눈앞의 시험만을 생각하라고 조언했다. 김씨는 2009년 1월 지인을 통해 응시연령제한 폐지 소식을 전해 듣고 9급 관세직에 도전했지만 떨어졌다. 하지만 좌절하지 않았다. 그 후로 약 100일 동안 하루 평균 15시간 이상을 7급 시험 공부에만 매달렸다. 필기시험을 이틀 앞두고는 엉덩이와 허리부위 통증이 심해져 누워서 공부하기까지 했다.
그렇게 절박한 심정으로 노력한 끝에 합격한 김 행정관은 공무원 임용 전까지 전국을 돌며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늦깎이 수험생을 위한 무료 강의를 하기도 했다. 그는 “40대 수험생 대부분은 가장들이기 때문에 그들의 도전은 자신뿐만 아니라 자식들의 미래가 달려 있는 일이기도 하다.”면서 “누구보다 힘들어 봤고 절망도 많이 해봤기 때문에 나와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에게 미약하더라도 희망과 용기를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김 행정관은 늦게 시작한 공직 생활에 대해 만족감을 보이면서도 공무원 재교육에는 아쉬움을 나타냈다. 그는 “조직 입장에서 본다면 20~30대 주무관이 40~50대 주무관보다 국외 연수 등 재교육을 통한 활용 가치가 높은 것은 부정할 수 없다.”면서 “공직에 늦게 들어온 만큼 스스로 자기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정책·고시·취업>최신 뉴스 보러가기
2011-03-1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