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학대 비판에도 ‘소싸움 대회’ 강행 논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우여곡절 끝에… 새만금국제공항 내년 초 첫 삽 뜬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공공기관장 임기 만료·공석 77곳… ‘역대급 큰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강서 방화근린공원 빛의 축제 오세요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남이섬 신화’ 한국도자재단 강우현 이사장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대과 없다는 공직자는 바보 일하는 사람 상처나기 마련”

남이섬 최고경영자(CEO) 강우현 대표의 ‘상상 경영’은 공공기관에서도 통했다. 그는 그저 그런 유원지를 연간 200여 만명이 찾는 관광지로 탈바꿈시킨 ‘남이섬 신화’의 주인공이다.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공공기관, 기업체 등에서는 “강우현을 배우자.”며 초빙이 쇄도했다. 이명박 대통령도 남이섬을 다녀갔다.

그는 2009년 7월부터 경기도 산하기관인 한국도자재단 이사장을 맡아 재단의 틀을 바꿔 놓고 있다. 곱지 않은 시선을 보냈던 직원들도 차츰 변하기 시작했다. 강 이사장의 마법이 통한 것이다. 자신의 상상력을 행정에 접목시켜 새로운 공공 패러다임을 창조하고 있는 강 이사장은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강우현 이사장

→재단에 발을 들여놨을 때 첫 느낌은.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했다. 여주, 이천 등 도자비엔날레 행사장은 1년 중 10개월은 텅텅 비어있었다. 500억원이나 되는 기금을 굴려 돈 벌 생각은 않고 이자로 직원 월급만 주고 있었다.

→이사장 집무실과 직원 사무실을 없앴다.

-개혁의 첫 단추였다. 개혁은 돌아갈 고향을 없애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돌아갈 집을 없애면 현재의 척박한 환경속에서 자생력·경쟁력을 키울 수밖에 없다. 그래서 그들의 고향을 다 뒤집어 버렸다.

→재단의 이름도 바꿨다. 이유는.

-당초 ‘경기도자진흥재단’이었는데, ‘진흥’이라는 단어를 뺐다. 진흥이라는 말이 들어가면 여기 저기서 ‘문화거지’들이 모여든다. 사업계획서 내밀고 지원해 달라고 손 벌린다.

경기도를 빼고 ‘코리아’를 넣자 중국 도자기공업협회에서 도자기 관련 일은 우리하고만 하겠다고 약속했다. 한국을 대표하는 게 경기도에 있다는 건 자랑 아닌가.

→재단의 존재 근거인 세계도자비엔날레까지 손을 댔다.

-10년간 도자비엔날레 행사를 치르면서 연간 100억~200억원씩 쏟아부었지만 도예인의 삶이 나아지고 도자산업이 발전했다는 얘기는 없다. 결국 쇼만 한 셈이다. 비엔날레는 재단의 한 부분일 뿐이다.

→도자산업의 현주소를 어떻게 진단하고 있나.

-이대로 두면 망한다. 도자산업뿐 아니라 공예, 디자인 등 예술 문화부문도 다 망한다. 하지만 수 백년, 수 천년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건 그곳에서 스스로 일어선 사람들 덕분이다.

재단은 그들이 스스로 일어설 수 있도록 계기를 만들고 터를 만드는 역할을 할 것이다.

→공공조직의 문제점은, 또 취임 2년을 앞둔 소회는.

-규정이나 매뉴얼이 너무 많다. 창조성을 떨어뜨린다. 못을 치는 매뉴얼을 없애면 다치더라도 머리를 쓰며 못을 치게된다. 재단에 온 뒤 1년 동안 지켜봤는데, 일보다는 계획을 짜고 검토·분석하는 데에만 시간을 허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젠 직원들이 생각하며 일한다. 사업을 통해 돈 버는 재미도 아는 것 같다.

일 많이 하는 사람은 상처나기 마련이다. 어떤 공직자는 40년간 대과없이 공직을 마쳤다고 자랑하는데, 사실 그 사람은 바보다. 얼마나 일을 안 했으면 그 긴 시간 동안 대과가 없겠나. 일하다 싸우면 상처가 생긴다. 난 상처투성이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강우현은 ▲1953년 충북 단양출생 ▲홍익대 미대 졸업 ▲일본 도단샤 출판문화상 그림책상 수상 ▲한국어린이문화대상 수상 ▲프랑스 칸영화제 포스터 디자인 지명작가 ▲(주)남이섬 대표이사 ▲한국도자재단 이사장
2011-05-30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