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65세이상 미팅 즐기고 건강 상담·문화활동까지…
노인 미팅 주선, 노-노(-) 상담센터에 여가센터까지, 이곳에 있으면 황혼도 두렵지 않다고 사람들은 입을 모은다.고령화사회 진입으로 관련 정책이 주목받는 가운데 강동구의 다양한 고령친화 정책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일방적으로 지원하고 보호하는 노인 정책이 아니라, 활기찬 사회 활동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꾸려 좋은 평가를 받는다.
26일 개최하는 ‘골드미팅’ 역시 활기찬 노후생활을 유도하기 위해 기획된 행사다. 말 그대로 황혼 세대 노인 남녀의 사교와 교제에 목적을 둔 미팅이다. 강동구에 홀로 사는 만 65세 이상 남녀 각 10명이 참여한다. 전문 MC 이상용씨의 진행으로 각종 레크리에이션을 즐기며 자기소개, 대화 등 서로를 알아 가는 시간으로 꾸민다. 약 2시간 동안 진행되는 행사 뒤 커플이 된 참가자들에게는 커플티와 실버 영화관 관람권도 제공한다.
강동구는 이번 행사를 위해 각 동 노인회에 협조를 구해 지원자를 받았다. 구 관계자는 “어르신들이 아직까지는 남 보기 쑥스럽다고도 하시지만 많은 분들이 흥미를 갖고 있다.”고 전했다. 강동구는 이번 행사 이후 보완 과정을 거쳐 연말쯤 더 큰 규모의 골드 미팅을 계획하고 있다.
이해식 구청장이 2008년부터 친환경 급식과 함께 ‘효행도시’를 중점 공약 사업으로 내세운 까닭에 강동구는 관련 정책을 다양하게 개발·진행해 왔다. 강동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전체 인구 대비 8.17%로 고령화사회 기준을 이미 넘어섰다. 서울 평균과 비슷한 수준인데, 특히 사별 등으로 혼자 사는 노인 20%에 이르러 노년 외로움이 큰 문제다.
강동구는 또 지역 90개 경로당에 ‘실버푸르미 여가문화센터’를 운영하며 실버요가, 지압, 컴퓨터 등 노령 인구 특성에 맞춘 문화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치솟는 인기 덕분에 전체 경로당으로 확대할 계획도 세웠다. 또 변호사, 한의사 출신 노인 상담위원들이 직접 노인 문제를 상담하는 노-노 상담센터도 개소 이후 현재까지 총 3000여건의 상담을 진행하는 성과를 거뒀다. 최장 30년까지 이용 가능한 3000기 규모 구립 봉안당도 비용이 저렴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구청장은 “고령 인구가 점차 늘어나 빈곤, 외로움, 질병 등과 관련된 노인 문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노후가 행복한 도시를 만드는 데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1-07-2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