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발전연구원 예측
전발연은 “통합으로 산업구조에 따른 경쟁력이 강화되고 일자리가 창출돼 10년간 총 1600여억원의 통합편익이 발생할 것”이라면서 “통합 시는 경쟁력이 높은 대도시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인구가 도내 전체의 40%가량을 차지하고 예산도 도내 전체의 17%에 이르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시설의 중복 투자를 없애고 주민의 행정수요에 적합한 투자와 예산의 집중화가 가능해져 전북도의 중추 도시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한편 1992년부터 18년 동안 진행된 전주-완주 통합 논의는 완주군의 반발로 지금까지 진전을 보이지 못하다가 올해 지방행정체제개편위원회의 본격 활동으로 다시 수면으로 떠올랐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