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사업은 기존 분묘 중 무연고 묘를 중심으로 개장한 뒤 수목장이나 화단에 유골을 묻는 화초장, 유골을 묻고 잔디를 심은 뒤 팻말을 세우는 잔디장 등으로 조성한다. 또 휴게·조경시설을 보강해 친환경적으로 정비해 공원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사업비는 국비 22억원 등 모두 37억 5000만원이 들어간다. 국비가 확보되면 내년 2월에 착공해 2013년 6월 준공할 계획이다. 군은 이 사업을 위해 지난해 9월부터 지역내 16개 공동묘지를 조사했고, 이 가운데 노이리 공동묘지가 무연고 묘의 비율이 94.3%로 높아 사업추진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묘지를 새로 만들지 않고 기존 묘지를 재활용하기 때문에 민원이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350여기의 공동묘지를 수목장지 등으로 리모델링하면 최대 7000여기까지 수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군은 이번 사업에 대한 반응이 좋으면 앞으로 거점별로 2~3개 공동묘지에 대해서도 추가로 공원화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전국적으로도 일제강점기 때 개별묘지 제한과 한국전쟁, 각종 개발사업 등으로 형성된 공동묘지가 많아 이들 중 일부만 수목장이나 납골장 형태로 바꿔도 묘지난은 거의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달성군은 주민설명회에서 일부 주민들의 반대 의견이 있었으나 공원화에 대해서는 대체로 공감하고 있어 사업 추진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분묘가 크게 늘어날 경우 성묘객 등으로 인해 교통난이 우려된다며 반대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공동묘지 공원화 사업은 혐오시설에 대한 인식전환과 장묘문화 개선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면서 “추가 분묘를 설치하더라도 주변에 도로를 개설하면 주민들이 우려하는 교통난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군민들에게는 상당기간 사용료를 면제하고 주민 전용 봉분을 만드는 등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겠다.”면서 “차질 없이 추진되면 다른 지자체에도 상당한 파급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1-10-0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