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년 된 회현2시민아파트… ‘남산 랜드마크’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꼭 설치… 울주 관광·경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일해공원’ 명칭 변경이냐, 존치냐… 공론화 속도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클럽에 ‘물뽕’ 자가검사 스티커… 서울시, 유흥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박원순 시장에게 바란다] 구로 “가리봉 개발 주거율 높여야”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디지털단지 배후도시 역할 기대… 市 도시계획 변경 협조 있어야

“누가 뭐래도 최대 관심사업은 가리봉동 개발입니다.”

이성 구로구청장은 14일 이렇게 거듭 말했다.

이성 구로구청장



가리봉동 개발은 구로디지털단지 인근에 자리잡고 있는 가리봉동 32만 3929㎡를 디지털단지 배후도시로 개발하는 재정비 사업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낙후지역으로 손꼽히던 가리봉동은 지역 균형발전을 꾀한다는 서울시의 방침에 따라 2003년 11월 ‘균형발전촉진지구’로 지정됐다. 이후 2005년 개발기본계획이 수립되고, 2006년 ‘도시환경정비사업’이라는 이름으로 구체적인 개발 청사진이 그려졌다.

지난해 1월에는 가리봉재정비촉진지구 및 재정비촉진계획 변경 결정고시도 마무리했다.

개발이 완료되면 호텔, 컨벤션센터, 연구·개발(R&D)센터, 최첨단 주상복합시설 등이 들어서 구로디지털단지를 지원하는 첨단 배후도시의 역할을 해낼 것으로 구는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자금난에 부딪히면서 사업 취소라는 최대위기에 몰리는 등 빨간불이 켜졌다.

이 구청장은 “사업 재개를 위한 큰 그림은 다 그려진 상태여서 박차를 가할 생각”이라면서 “세부적인 조율만 마무리되면 곧 개발사업이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서울시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 구청장은 “사업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도시계획의 변경이 절실하다.”며 “현재 주거지역과 비주거지역의 비율이 6대4로 계획되어 있는데 주거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어 시에 협조를 부탁한다.”고 설명했다.

또 하나는 이와 맞닿은 남부순환로 지하화 공사의 예산부담이다.

가리봉동 일대 남부순환로 지하화 공사는 시 70%, 가리봉재정비촉진구역 내 주민 30% 부담으로 계획됐다. 구는 주민들이 떠안아야 하는 짐이 너무 크다는 점을 빼놓지 않는다.

이 구청장은 “시 사업이기도 한 남부순환로 지하화 공사를 시에서 전액 부담하면 가리봉동 재정비 사업이 훨씬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며 “주민 숙원인 만큼 박원순 시장의 적극적인 ‘협찬’을 바란다.”고 말을 끝맺었다.

김지훈기자 kjh@seoul.co.kr

2011-11-15 15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