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군공항 이전 후보지 무안군민 만나 설득 ‘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기후 위기에 민관 손잡았다…경기 RE100 플랫폼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시민 스타 오디션에 보트 퍼레이드…한강서 역대 최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휴머니티·자연 연결… 제주, 2025년 APEC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아산상 받는 수시 위르야니 “다문화가정 보는 눈 여전히 차가워요”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예전에 비해 많이 좋아졌다지만 아직도 다문화가정을 바라보는 눈길은 여전히 차가워요. 많이 따뜻하게 맞아주셨으면 해요.”


수시 위르야니씨

모범적으로 다문화가정을 이끈 공로로 제23회 아산상 다문화가정상을 받는 수시 라하유 위르야니(36)가 24일 이같이 소감을 밝혔다.

동대문구 다문화가정지원센터 통번역지원사로 활동하는 그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태어나 경영학을 전공하고 크루즈 회사 매니저로 일하다 27세 때이던 2002년 결혼해 한국에 정착했다.

처음엔 언어 때문에 힘들어 고향 생각에 눈물로 밤을 지새우기도 했으나 2008년 센터에서 찾아가는 한국어서비스를 받으며 조금씩 한국문화에 눈을 떴다.

2009년 한국외대에서 모집하는 통번역지원사에 지원했다. 주로 인도네시아에서 온 이주여성들을 상담하며 관공서 문서 통역에서부터 법원 민사사건 통역, 병원 가이드 역할까지 일인 다역을 소화한다. 가끔씩 국회토론자로 나서서 이주여성들을 대변하기도 한다.

“이주여성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 것은 말입니다. 의사소통이 안 되니 가족끼리 대화도 끊겨 오해로 자주 다퉈요. 상담해 보면 별것도 아닌데 하는 생각에 웃음이 절로 나와요. 저도 예전엔 술을 너무 많이 마시는 남편을 오해했거든요.”

그는 인도네시아에선 서로 사생활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시어머니와 갈등을 꿈에도 떠올리지 못했다. 더욱이 효 사상을 중요시하는 한국문화 때문에 남편이 어머니 편을 들 때면 늘 서운했다고 되뇌었다.

10년 한국 살이는 그를 ‘주부 9단’으로 바꿔놨다. 고부갈등에서 빚어지는 부부갈등과 양육문제는 물론, 시시콜콜한 문화정보까지 꿰고 있다. 북아트 모임까지 만들어 이주여성들의 한국정착을 돕는다.

수상 소감을 묻자 “너무 큰 영광이라 얼떨떨하지만 책임감이 커지는 것 같다.”며 “먼저 한국문화를 겪은 선배로서 한국사회에 적응하려는 인도네시아인들을 위로하고 감싸주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시상식은 25일 송파구 풍납동 아산생명과학연구원에서 열린다.

강동삼기자 kangtong@seoul.co.kr

2011-11-25 15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