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동 등 강남 재건축안 보류’ 논란 일자 부시장이 직접 해명
서울시가 24일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대해 “강제로 속도조절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강남 재건축 사업이 속도 조절에 들어간다는 서울신문의 첫 보도<2011년 11월 18일자 1면> 이후 논란이 일자 진화에 나선 것이다.
문승국 행정2부시장은 이날 기자설명회를 갖고 “전·월세 등 여러 가지 사회적 영향을 고려해 아파트 재건축·재개발과 뉴타운의 속도 조절은 필요하다.”면서도 “경기가 침체해 있고 수익률이 낮아 시장이 스스로 속도 조절을 하는 상황이어서 정책으로 강제할 사항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시는 지난 16일 박원순 시장 취임 후 처음 열린 도시계획위원회에서 개포동 주공 2단지·4단지, 시영아파트 등 재건축안 4건을 무더기로 보류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박 시장이 각종 도시 재정비 사업의 속도조절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문 부시장은 자신이 위원장으로 참여한 도시계획위에서 개포동 재건축안 3건을 보류한 이유는 “임대주택을 저층으로 몰아넣는 등 ‘소셜 믹스’가 돼 있지 않아서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아파트 디자인의 다양성과 조망권 확보를 위한 동 배치, 대중교통 계획 등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고 해명했다.
재정비 사업의 방향에 대해서도 문 부시장은 “공공성에 중점을 둬 임대주택과 녹지의 비율을 늘리고 주민의 편익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사업성 저하와 부동산 경기침체로 난항을 겪고 있는 뉴타운의 경우 주민의 의견을 수렴해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반복했다.
김지훈기자 kjh@seoul.co.kr
2011-11-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