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주인 되는 협동조합’이라는 목표를 내건 이번 과정은 다음 달 5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7∼9시 수강생 110여명을 대상으로 하월곡동 성북구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된다. 성북구는 당초 70명을 모집하려 했지만 희망 주민이 많아 대폭 늘렸다고 7일 밝혔다. 특히 이번 마을학교는 구나 개별 단체 주도가 아닌 서울북부두레생협, 에코생협, 국민대생협, 한살림서울생협 북동지부로 구성된 성북구생협협의회와 성북구가 함께 마련한 게 특징이다.
첫 시간에는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장이 ‘지금, 왜 협동조합이 대안경제로 떠오르는가’라는 주제로 ▲한국경제에 벌어진 일 ▲무너지는 경제학과 대안 ▲사회적경제와 기업가 정신 등에 관해 강의했다. 7일 열린 두 번째 수업도 권영근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부이사장이 ‘협동조합의 7대 원칙을 중심으로 한 협동정신의 철학’을 강연해 많은 호응을 받았다. 이 밖에도 ▲협동조합 기본법과 운영원리 ▲안성의료생협의 기원과 민주적 운영 사례 ▲유럽 협동조합의 현황과 성공 사례 ▲지역경제네트워크 내 협동조합의 역할을 주제로 한 강의들이 이어진다.
김영배 구청장은 “사회적 경제를 바탕으로 하지 않는 마을공동체 재생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사회적 경제 체계 구축을 위한 협동조합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2-06-0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