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운전 거쳐 내년 9월 운행… 공항~용유·무의단지 6.1㎞
최첨단 미래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도시형 자기부상열차가 이달 중 완공돼 시험운행에 들어간다.
|
도시형 자기부상열차는 일본, 독일 등에서 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자기부상열차 상용화를 국책사업으로 선정, 철도차량 제조업체인 로템과 대덕연구단지에서 국내 기술로 자기부상열차를 개발해 왔다.
자기부상열차 노선은 인천공항 교통센터∼용유·무의관광단지 간 6.1㎞로 정거장 6개와 차량기지 1개 등으로 구성돼 있다. 사업비 3262억원은 국비 69%, 시비 6%, 인천국제공항공사 25% 비율로 충당됐다.
시는 10개월간의 시험운행이 끝나면 하자 등을 점검한 뒤, 공항공사로부터 자기부상열차를 인수해 내년 9월부터 정상 운영할 예정이다.
자기부상열차는 바퀴 대신 자기력을 이용해 레일 위에 떠서 달리기 때문에 소음과 진동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최고 시속 110㎞에 무인운전 방식으로 운행된다. 때문에 운영비의 80%를 차지하는 인건비와 유지보수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번에 종합 시운전에 들어가는 자기부상열차는 2량 1편성으로 115명이 승차할 수 있고, 실내 소음이 65㏈ 이하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12-08-02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