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모든 주민센터, 복지업무 ‘올인’
서대문구가 다음 달 1일부터 동 주민센터를 최일선 복지기관으로 재편하는 작업에 들어간다. 주민센터 업무를 상당 부분 구로 이관하고, 복지업무를 위주로 전환하는 ‘동 복지 허브화 사업’의 일환이다. 구는 지난 4월 시범적으로 충현동과 남가좌2동에서 동 복지 허브화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내년 1월에는 서대문구 14개 동 주민센터가 모두 ‘복지 전초기지’로 전환돼 주민들의 복지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된다.구는 우선 주민센터의 고유 업무 가운데 ▲기초사무 ▲주민등록 등·초본 등 민원서류 발급 ▲민방위 ▲재난 대비 ▲청소 ▲주차단속 등 대부분의 업무를 구로 완전 이관한다. 각종 현장 조사 업무도 구로 이관해 주민센터가 능동적으로 복지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수작업으로 이뤄졌던 민원업무를 줄이기 위해 무인민원발급기를 동별로 1~2대씩 확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시범 운영하고 있는 충현동과 남가좌2동은 물론 당장 다음 달부터 신촌·연희·북가좌1·남가좌1·홍제2동 등 5개 지역에서 순차적으로 체계 개편이 이뤄진다.
민원창구 인력을 2~3명으로 줄이는 대신 주민센터 민원팀은 동장을 포함해 최대 9명으로 확충한다. 여러 명의 팀장을 두는 현행 제도 대신 단일팀의 ‘사무장’이 조직을 통솔하는 방식으로 전환해 조직 갈등을 줄이고 탄력적 인력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도 준비 중이다.
구는 유능한 직원의 동 근무를 유도하기 위해 경력자에게 인사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과 7급 이하 공무원의 승진·전보 시 필수적으로 동 복지업무를 경험하도록 하는 ‘필수근무제’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
문석진 구청장은 “취임 직후부터 100가정 보듬기 사업과 더불어 주민을 실질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왔다.”면서 “공무원의 단순 행정업무를 줄이는 대신 발로 뛰는 복지행정을 정착시켜 서울에서 가장 모범이 되는 복지특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2-09-2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