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청사 공무원 스타일
정부대전청사에 입주한 기관별 공무원 스타일이 미묘하게 다르다. 국가 공무원이어서 ‘초록은 동색’이라고 전체적인 분위기는 비슷하다. 하지만 이들에게서 미묘한 차이가 감지되는 것은 기관의 업무 특성이 구성원 스타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업무 특성이 직원들에게 영향
단독 청사를 사용할 때는 잘 보이지 않던 기관별 특징들이 청사를 함께 사용하면서 확연히 드러난다. 산림청 공무원은 산과 숲의 특징이 반영된 듯 대체로 온순하고 인간적이라는 평을 받는다. 직원 간의 관계는 끈끈하지만 관가에선 업무처리가 명확하지 못하다는 지적도 따른다. 이현복 산림청 운영지원과장은 “현장 조사를 나가면 본청과 현장 직원이 며칠을 산속에서 함께 지내게 되면서 자연스레 인간적인 관계가 형성된다.”고 설명했다.
조달청과 관세청은 계약업무와 국경 최일선에서 통관을 책임지는 업무 특성상 직원들이 보수적이고 세심하다. 직원 간의 정이 끈끈하고 단합이 잘되는 등 위계질서가 강하고 특히 직원이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세심하게 배려하는 특징이 있다. 일각에서는 지나친 ‘가족화’로 인한 소외의 가능성을 지적하기도 한다. 다른 기관들이 노조를 설립한 것과 달리 두 기관은 공무원 직장협의회를 유지하고 있다.
특허청은 정반대다. 공직과 민간의 중간 형태로 다소 특이한 부처로 간주된다. 현원(1527명)의 78%가 사무관 이상인 데다 고시 및 박사 출신이 절반을 차지한다. 특허 심사·심판 업무가 전문적이고 독립적이다 보니 개인주의가 심하고, 직원 간의 연대감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즉 개인 능력은 뛰어나지만 사회성 및 남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소리를 듣는다. 2005년 당시 김종갑 특허청장은 직원과의 대화에서 “우리끼리는 대단한 일을 한다고 생각하는데 밖에서는 ‘그저 그런 조직’에 불과한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직사회도 갈수록 전문성 심화
한 관계자는 “이전에는 기관별 특징이 뚜렷하게 구별됐지만 우수 인재 유입과 고유 직무가 부여되면서 차이가 옅어졌다.”면서 “공직사회도 전문성 및 개인주의화가 심화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2-10-0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