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교육지원 했더니 학생·학부모·지역 ‘윈윈’
은평구가 각 학교에 지원하는 교육경비보조금 지원 방식을 지역사회 교육 자원을 활용한 맞춤형 지원 방식으로 바꿔 ‘1석 3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은평구는 14일 지역 내 교육 프로그램 운영 단체, 기관 등과 학교를 연계하는 ‘희망은평 E(Education·교육)-러닝(Running) 사업’을 벌여 학생들의 행복한 학습환경 조성과 학부모의 사교육비 경감, 지역 사회 발전 등의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E-러닝 사업은 각 학교로부터 필요한 사업을 신청받아 지역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개인이나 기관, 단체 등에서 응모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연결해 주는 방식이다.
김우영 구청장은 “각 학교에 지급하는 교육경비 보조금이 올해 230억원에 달하지만 그동안 학교에서 신청하면 구에서 획일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이뤄져 사업 진단이 어렵고 학교마다 제각각 사업을 진행해 효과를 측정하기 어려웠다.”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전문가와 학부모, 청소년들의 의견을 듣고 논의한 끝에 지역 교육 프로그램 사업 단체, 기관과 학교를 연계해 사교육비를 줄이면서 지역사회 내 자원을 활용하는 사업을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구는 지난 8월 각 학교로부터 원하는 프로그램을 신청받아 교육전문가와 시민단체, 주민, 학생 등이 참여하는 참여예산위원회 청소년분과, 교육경비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52개 초·중·고등학교 212개 사업에 6억 889만원을 지원했다. 또 음식물쓰레기 친환경처리기와 특성화고 취업지원관 인건비 지원 등 특수사업으로 8100만원을 지원하기도 했다.
선정된 사업에는 바른 먹거리와 식습관을 배울 수 있는 생태야(野)놀이터 텃밭교실, 실생활을 접목시켜 놀이를 통해 배워 나가는 경제교실, 우리 가락을 배우는 국악교실, 마술공연 및 강의체험 프로그램 등 학교 수업에서 쉽게 배울 수 없는 프로그램 등이 선정됐다.
김 구청장은 “오는 21일부터 일선 학교, 교육단체, 기관 등을 대상으로 교육경비 보조금 활용계획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여 교육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
2012-11-1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