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년 된 회현2시민아파트… ‘남산 랜드마크’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꼭 설치… 울주 관광·경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일해공원’ 명칭 변경이냐, 존치냐… 공론화 속도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클럽에 ‘물뽕’ 자가검사 스티커… 서울시, 유흥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금 대전청사에선] 정부세종청사 입주에 외청 직원 반응 엇갈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업무면에선 대체로 긍정적 일각선 과도한 간섭 우려도


전국 市·道 부단체장 영상회의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시·도 부단체장 영상회의에서 이삼걸(오른쪽) 행정안전부 2차관이 정권 초기 공직기강 확립 및 해빙기 재난예방 대책 등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지난해 말 상급기관의 정부세종청사 이전으로 대전청사 외청 및 공기업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업무와 관련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지리적으로 가까워져 과도한 간섭이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터져나온다.

먼저 긍정론. 세종청사가 대전에서 20~30분 거리에 있다 보니 관계기관과 업무협의 및 교류가 수월해졌고 교류 폭도 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잦은 대면을 통해 산하기관에 대한 이해도도 높아졌다. 외청 대변인실의 발걸음도 눈에 띄게 분주해졌다. 일부 기관은 상급부처와 협조를 통해 정례 브리핑도 진행하기로 했다. 기관의 업무와 정책을 널리 홍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 서울청사 시절에는 외청이 브리핑을 할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적었다. 브리핑이 열려도 기자들이 무관심했으나 세종청사 이전 뒤부터는 상황이 달라졌다. 대전청사의 과장급 간부는 “‘과부 설움은 홀아비가 안다’고 지방 근무에 따른 동병상련이 작용하는 것 같다”면서 “업무적으로 긴밀한 관계는 아니지만 외청들의 부담이 줄고 기대효과도 커졌다”고 말했다.

반면 ‘큰집’이 가까워진 바람에 전에 없던 부담도 생겨났다. 외청에서는 상급기관의 ‘밀어내기식 인사’가 확대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실제로 서울과 지방이라는 단절감이 사라지면서 ‘외청 근무=좌천’이라는 인식이 크게 바뀌었다. 당장 정부조직개편으로 조직이 축소된 부처에서 인사적체를 해소하기 위해 외청을 적극 활용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공기업들도 볼멘소리를 터뜨리기 시작했다. 관리감독 기관이 인접하면서 눈치 볼 일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공기업의 사업부서마다 “식사 한번 하자”는 거부할 수 없는(?) 주문이 빈번해져 호출을 받을 때마다 만사를 제쳐두고 달려 나가야 한다는 하소연들이다. “차라리 예전처럼 멀리 떨어져 있어 담당 실무자가 출장을 가는 것이 훨씬 마음 편했다”는 푸념까지 들린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3-03-07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