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등 4곳 날짜지정 입씨름
7일 전북도에 따르면 2004년 3월 5일 동학농민혁명 특별법이 제정됐다. 특별법 제정으로 그동안 ‘보국안민’을 기치로 내걸었으나 ‘동학난’으로 폄하됐던 농민혁명이 ‘국권 수호운동’으로 공식 인정받게 됐다.
그러나 동학혁명과 관련이 깊은 지자체 간 의견 충돌로 아직도 기념일을 제정하지 못하고 있다. 전북 고창군은 ‘무장 기포일’인 4월 25일을 기념일로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동학혁명 봉기는 정읍 고부에서 시작됐으나 농민군이 일어나 사실상 혁명으로 확산된 것은 무장 기포일이기 때문이라는 입장이다.
반면 정읍시는 황토현 전승일인 5월 11일을 기념일로 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동학혁명이 정읍에서 최초로 봉기됐고 최근 40여년 동안 황토현 전승일에 기념행사를 해 왔으므로 기념일은 역사성, 상징성, 파급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게다가 전주시는 혁명군이 전주에 입성한 5월 31일을, 충남 공주시는 우금티 전투가 벌어졌던 12월 5일을 기념일로 제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같이 동학혁명 기념일 제정은 지자체뿐 아니라 학계와 유족들까지 의견이 맞서는 바람에 수년째 공전을 거듭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동학혁명 유족회 측은 최근 특별법 공포일을 기념일로 지정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지역갈등 때문에 기념일을 정하지 못할 바에는 차라리 지역성이 없는 날을 기념일로 하자는 의견이다. 유태길 동학농민혁명군 유족은 “3월 5일로 정해 지역 갈등을 해소하고 전국적인 화합 속에서 기념사업을 추진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지자체 가운데 정읍시는 유족회 의견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대길 정읍시 동학혁명 선양팀장은 “이 제안을 즉각적으로 검토할 의향이 있고 정읍시가 주장해 왔던 부분도 재검토할 수 있는 기간을 갖겠다”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