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남교육감 인터뷰
“전남엔 이주배경 학생들 많아다양성·포용 실천 기회 삼을 것”
“학생 한 명, 한 명이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게 교육의 역할입니다. 지역과 세계가 공생하는 글로컬 전남교육 실현을 통해 대한민국 미래교육을 선도해 나가겠습니다.”
김대중 전남교육감은 23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전남교육 대전환은 교육 현장 중심의 변화를 이끌게 될 것이다. 전남형 미래교육 모델인 학생교육수당, 2030교실, 글로컬 인재 양성 등을 통해 K교육의 미래를 여는 데 앞장서겠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학령인구 감소와 지역소멸 위기 속에서도 김 교육감은 전남의 정체성과 세계적 보편성을 아우르는 글로컬 교육 모델을 구축해 왔다. 그는 전남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글로컬 미래교육박람회’를 전환점으로 꼽는다. 당시 전남 교사들이 만들어 낸 2030교실은 세계 교육계에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김 교육감은 “전남교육이 하면 세계에서도 통한다는 자신감을 얻은 계기였다”며 “이제는 교실 수업부터 국제 교류까지 전남형 미래교육을 현장에 단단히 뿌리내릴 때”라고 힘줘 말했다.
전남교육의 핵심 철학은 ‘공생’이라고 했다. 그는 ‘공생의 경제교실’, ‘공존교실’, ‘공생의 길 프로젝트’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더불어 성장하는 교육생태계가 가능하다는 점을 실감한다고 전했다. 이주배경 학생이 많은 전남의 특수성 역시 다양성과 포용을 실천하는 기회로 삼고 있다.
김 교육감은 “전남에서 시작된 교육 대전환이 K교육의 미래를 밝히는 출발점이 되도록 남은 임기 동안 흔들림 없이 나아가 학생, 학부모, 교사 등 교육 관계자 모두가 행복한 전남교육을 실현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무안 최종필 기자